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
타인
남쪽
남향
뉴스
"
다른사람
"(으)로 총 8,00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도 사람처럼 잠을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3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어류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얕은 잠'인 렘(REM)수면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냈다.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1일 푸른 바닷속 따개비가 덕지덕지 붙어 있는 바위에 몸을 편안히 기댄 채 쉬고 있는 흰점박이복어의 모습을 표지로 담았다. 필립 무랭 스탠퍼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
2019.07.13
사람은 세 살이 되면 슬슬 나와 다른 타인의 존재를 의식하기 시작하고 타인의 입장이 나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아차리게 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은 날때부터 선할까, 아니면 백지로 태어난 후 선함은 오로지 배움과 훈련을 통해서만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일까? 공감에는 크게 두 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밀레토스의 그리스식 극장. 위키피디아 제공 칼 세이건의 역작 《코스모스》나 스티븐 와인버그의 《최종이론의 꿈》 같은 교양과학책을 보면 과학 이야기는 항상 고대 그리스로부터 시작한다. 이는 마치 우리가 우리 역사를 얘기할 때 단군신화부터 시작하는 것과 비슷하다. 서구 사람들에게 단 ... ...
“북한 결핵문제는 무관심속에 천천히 진행되는 재앙”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북한의 한 환자가 결핵을 완치한 뒤 인세반 유진벨재단 회장에게 감사 인사를 하고 있다. 유진벨재단 제공 “북한의 결핵 문제는 승객 13만 명이 타고 있는 커다란 배가 서서히 가라앉는 것과 같은 형국입니다. 당장 가라앉는 게 아닌 것처럼 보이니 긴박하게 느껴지지 않고 결국 그러다가 결국 기 ... ...
사람 간 약효차, 수학적 모델로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김대욱 박사과정생은 수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동물 실험과 임상시험 간 차이가 나는 원인을 밝혔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같은 약을 먹어도 사람과 동물 혹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약효가 차이나는 원인을 수학적 계산을 통해 밝혀냈다. 이를 토대로 최적의 투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숲을 늘려야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2019.07.09
전지구적으로 지구온난화가 가속되는 상황에서 환경을 파괴하는 태양광발전 시설의 난립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픽사베이 제공 "이제 지구는 환경의 문턱에 접근하고 있고 만일 이를 넘어선다면 생태계와 경제, 사회에 심각한 타격을 초래할 것이다. 기후변화의 재앙과 생물다양성 손실을 피하기 ... ...
갑자기 투명해진 반려견
팝뉴스
l
2019.07.09
팝뉴스 제공 위는 미국 인터넷 이미지 공유 사이트에서 화제가 된 사진이다. 사진에는 이런 설명이 붙어 있다. “반려견과 산책을 하고 있었다. 다른 때와 비교해서 특별하거나 유별난 것이 전혀 없었다. 그런데 반려견을 내려 보는 순간 깜짝 놀랐다. 반려견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반려견은 투 ... ...
수돗물 질산염이 발암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기준치보다 낮은 농도의 질산염도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가 한 달 넘게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수돗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에는 대구경북 지역 수돗물에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과불화화합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불의를 지적하기 쉽지만 나와 관련된 순간 인간의 도덕적 판단 능력은 뒤틀린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도덕적인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 참 많은데 왜 세상은 이 모양 이 꼴일까 궁금했던 적이 있다. 몰라서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라고, 알고 나면 바뀔 거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하지만 대학원 생 ... ...
[주말N수학] 수학자 힐베르트 17번 문제, 자율주행차 안전 문제를 해결하다
수학동아
l
2019.07.06
최근 자율주행차의 성능을 지금보다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1900년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가 발표한 문제를 활용한 것이어서 놀랍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율주행차라고 하면 가장 먼저 '차 안에 앉은 사람이 운전대에 손을 얹지 않고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는 장면'이 떠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