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광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광통신은 빛이 다른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무간섭성과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크기
가 같다는 선형성을 기반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나노광학은 극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빛의 특이 현상과 비선형에 중점을 둔다. 예를 들어 폭이 수십 나노미터(1nm=10-9m)에 불과한 금속 구멍이 있다면 빛은 이를 ... ...
멤스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동일한 논리에 의해서 θ는 θz로 입사광과 동일하며 θT>θz이다. 두 광선이 동일한
크기
의 광센서에 도착하여 상을 형성하는 경우는 아래 그림과 같다. 광센서부 전체를 모두 이용하기 위해서는 센서부와 확대 추적 반사경의 길이가 현상 포착 반사경과 센서부 사이의 길이보다 더 길어야 한다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것이다. 3) 그래프에서 최대 밀도 직선의 기울기가 어는점 직선의 기울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염분이 24.7‰이고, 수온이 -1.33℃인 점에서 이 두 직선이 교차함을 알 수 있다. 해수의 냉각은 차가운 공기와 접하고 있는 해수면부터 일어나는데, 순수한 물이나 염분이 24.7‰ 이하인 해수는 최대 밀도일 ... ...
몸속에서 일어나는 리얼리티 드라마 생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퍼져나간다.소장에서 흡수된 영양분과 폐에서 공급받은 산소를 온몸에 전달하는 심장은
크기
가 주먹만하며 무게는 300g 정도 나간다. 심장은 전체가 두꺼운 근육층으로 이뤄져 있으며 심장으로 혈액이 들어오는 혈관은 정맥이라 부르며 심장에서 혈액이 나가는 혈관은 동맥이라 부른다. 사람을 ... ...
선수마다 다른 축구화의 비밀, 스터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회전할 때 궤적이 더 커 회전축으로부터 회전하는 물체 표면까지의 거리가 원통형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굵은 스터드를 신은 것처럼 회전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스터드의 높이가 낮은 축구화는 오랫동안 신어도 발의 피로가 적다. 또한 발 가운데에 놓인 가로방향 막대 스터드는 ... ...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않고 대부분 지방세포에 축적되는데 비만일수록 지방세포에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축적된 팝스가 지속적으로 혈액으로 나와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런데 팝스 사용이 금지된 지 20여 년이 지난 선진국에서 왜 당뇨병이 줄어들지 않는 걸까. 또 서구에 비해 ... ...
몸도 마음도 튼튼해지는~건강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치료가 중요해요.게다가 비만 아동은 과도한 체중이 무릎 성장판을 눌러 제대로 키가
크기
어려워요. 체중이 1㎏ 늘면 무릎에는 세 배나 많은 3㎏이 실리거든요. 내 몸이 더 정교해진다!겉모습뿐만 아니라 운동 능력도 역시 아동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아동기에는 뇌신경끼리 정보를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있는 최첨단 전자현미경이다. 일반 전자현미경에서 사용되는 전자빔이 100kV로 0.2~0.3nm
크기
의 입자를 볼 수 있는데 비해 HVEM의 전자빔 성능이 이보다 13배나 강한 1300kV여서 0.12nm의 해상도로 원자까지 볼 수 있다. 우주망원경에 비유하면 달 표면에 있는 모래알을 보는 셈이다. 가속 장치와 고압 발생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크기
의 음식물 분자(고분자 유기화합물)를 녹여 세포가 충분히 빨아들일 수 있는 작은
크기
의 분자(저분자 유기화합물)로 분해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물이 세포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원이다. 영양소는 생명의 에너지 세포가 영양소와 물 그리고 무기질과 산소를 이용해 화학에너지를 ... ...
[기계공학] 로봇 물고기로 바닷속 오염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끝에 로봇 물고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이 로봇 물고기는 잉어를 본 뜬 모양으로
크기
는 약 1.5m이며 움직임도 실제 물고기를 그대로 모방했다. 연구팀의 선임과학자인 로리 도일 박사는 “기존 로봇 물고기와 달리 인공지능과 내비게이션을 장착해 사람의 지시 없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