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홈페이지에서 국가예방접종 피해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경피용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karp.drugsafe.or.kr)으로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신청하면 된다. 단, 경피용 BCG 백신 무료 접종 실시기간 동안에는 경피용도 국가예방접종 피해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 ...
- [과학뉴스] ‘귀염둥이’ 수달, 수백만 년 전엔 무시무시한 포식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뼈까지 씹어 먹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지금은 귀여운 외모로 사랑받고 있지만 수백만 년 전 생태계에서는 동물계를 호령하는 포식자였을지도 모른다는 얘기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1월 9일자에 실렸다. doi:10.1038/s41598-017-15391- ... ...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터치ID’에서 ‘페이스ID’로. 애플이 ‘아이폰X(텐)’에 ‘페이스ID’를 탑재했다. 비밀번호를 누를 필요도, 손가락을 갖다대 지문을 인식시킬 필 ...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Part 4. 지금은 ‘미소년’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름 모름. 여성. 32.1세. 행복과 약간의 공포(fear).” 10월 말,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인지로보틱스연구부의 한 실험실. 얼굴 인식 인공지능 ...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에 대해 많은 부분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더라고. 다만 전에는 예측밖에 할 수 없었던 우리의 생활을 카메라와 비디오 등으로 연구하면서 하나씩 밝혀가고 있는 중이래. 하지만 앞으로는 단순히 호기심을 해결하는 연구보다는 우리를 보호할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을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BSC 위원들이 토론을 거쳐 점수를 투표해 도출한 평균값이 2차 평가 결과다. 이후 전체 BSC검토를 거쳐 4개월 뒤 연구실에 점수를 포함한 정성평가 결과가 통보된다. 이의 신청 기간은 한 달이다. 신시아 매시슨 NIH 국립암연구소 연구본부 평가지원팀박사는 “만약 어떤 연구에 실패했다고 하더라도 왜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않을까?’ 이야기하면서요. 그러다 생각이 나면 빨리 써야죠. 가장 안좋은 건 잠들기 직전에 ‘이렇게 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나는 거예요. 그러면 잠을 못 자거든요. 가장 닮고 싶은 수학자는 누구인가요?여러 수학자의 장점을 다 모아서…(웃음). 박사과정 지도교수이신 하승열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끼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이 노트의 내용은 하나의 명제를 증명하는 게 아닙니다. 수학 전반에 걸쳐 기초적인 개념부터 다루고 있습니다. 그로텐디크의 노트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성취는 무엇인가요?마랭 학문적인 성취도 위대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그로텐디크의 생각하는 방식을 ... ...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주는 변수를 독립변수, 다른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변수를 종속변수라고 한다. 오래전부터 과학자들은 동물의 표정이 감정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연구팀은 반려견의 표정이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위한 적극적인 시도라고 말합니다. 또 사람이 관심을 보일 때 ... ...
이전4034044054064074084094104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