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Ⅲ 의료·유전공학·에너지 분야서 2천년대 국가 경쟁력 좌우과학동아 l1994년 04호
- 있는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를 이용한 연구 및 진료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는 1984년 원자력병원에 사이클로트론은 설치되었으나 불행히도 PET시스템은 아직 한대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1994년 초 서울대학교병원에 PET설치가 확정되었으며 그 외에 2~3개 종합병원에서 PET 설치를 ... ...
- 인공효소 개발로 한국 과학상 대상 받은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과학동아 l1994년 04호
- 막강한 파워는 자연에서 얻어지는 것 뿐 아니라 인공효소에서도 기대되고 있다. 국내에서 인공효소 개발에 매진하는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 교수를 만나보았다.지난 해 12월 제4회 한국과학상 대상을 수상한 서울대 화학과 서정헌(徐正憲·45) 교수의 연구분야는 인공효소다. 그는 효소중 금속이 ...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정확히 알아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과학동아 93년 8월호에는 '우주 토마토 국내에서 첫 재배 실험'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있었다. NASA 주관으로 우주로 보내졌다가 90년 콜럼비아호에 의해 회수된 토마토 씨앗이 6년간 우주 공간에 머물다가 돌아왔는데, 이를 세계 각국에서 재배시켜 발아율 ... ...
- 현대전자, 21W 초절전형 그린컴퓨터 개발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추가로 탑재해 주변기기에서 로컬버스의 고속처리능력을 보장했다.이와 함께 국내 최초로 데스크톱 컴퓨터에 PCMCIA용 드라이브 공간을 제공해 차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추가설치나 LAN 접속, 메모리 확장에 간단히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노트북 사용자의 경우 PCMCIA용 하드디스크를 빼내 이 ... ...
- 3. 1996년 2단 중형 로켓발사의 디딤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1,2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를 중심으로 대학 산업계가 협동연구로 수행한 국책 과제로 국내에 있는 기존 제작 시험시설들을 최대한 활용한 것이 특징. 90년 7월에 착수한 과학1호는 해석은 물론 설계 전과정을 컴퓨터로 수행했으며, 설계된 형상은 축소모델로 풍동시험을 실시해 로켓의 안정성과 ... ...
- "화학조미료 주성분 MSG는 무해하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전환될 소지가 있지만 실제 MSG가 고온으로 조리될 경우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논쟁이 조미료제조사간에 일어나 얼마전에는 'MSG를 넣지 않았다'는 내용의 조미료 광고가 '경쟁사 제품이 유해식품인 양 허위 과장됐다'며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기도 했다.이러나 연구 ... ...
- PART.3 게임제작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겪느라 작품 발표가 뜸하던 SA팀은 이번 봄에 두가지 게임을 발표하느라 분주하다. 국내 처음으로 액션과 롤플레잉이 결합된 게임인 '메카탐정'과 최초의 3차원 영상이 선보이는 '어디스'가 바로 그것. 어디스는 작년에 시연회를 마친 게임으로, 환경 오염으로 형태가 변한 지구를 포기하고 달로 ... ...
- 3월 국내 첫 아마추어 천문대 오픈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심재철)의 발족식을 갖고, 3월 20일경 정식으로 개소할 예정이다. 아마추어 천문대로서는 국내 처음 있는 일.충청북도 진천에 관측 부지를 확보하고 12.5인치 반사망원경, 4인치 굴절망원경, 1백mm 쌍안경과 다수의 사진촬영장비를 갖춘 진천아마추어 천문대는 현재 연구원을 모집중이다. 이미 대학을 ... ...
- 43만 가구 일시에 정전시킨 '섬락현상'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열화현상을 일으키면서 파손돼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된다.섬락현상으로 인한 정전사고는 국내에서는 비교적 드물게 일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지난 87년과 91년 태풍 셀마와 오키드가 상륙했을 때 동해안지역에서 발생한 일이 있으나 서해안지역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처럼 집중적으로 ... ...
- '공기 비타민' 음이온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세계적으로 음이온에 대한 연구는 미국과 일본 등지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앞으로 음이온 연구는 실내 공기 청정 표시의 종합지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
이전4034044054064074084094104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