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548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에서 3년간 논문 26편 쏟아낸 '진격의 육군 소령'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무선사업부에서 근무하다 2017년 봄 만삭의 몸으로 석사과정에 합격한 전기및전자
공학
부 김정훈(40)씨도 화제의 졸업생이다. 회사의 학술연수 프로그램으로 KAIST에 입학한 그는 휴대전화 화질 개발, 평가 분야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사내 전문 조직에서 제안하는 부품 및 알고리즘 기술을 ... ...
노준석 포스텍 교수, 나노
공학
학술지 선정 ‘젊은 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노준석 교수. 포스텍 제공. 노준석 포스텍 기계
공학
과·화학
공학
과 교수가 마이크로시스템 앤 나노엔지니어링 정상회의(MINE)에서 ‘젊은 과학자상’ ... 기계
공학
석사를,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대학원에서 기계
공학
·나노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부터 포스텍에 재직중이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핵산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려던 시도는 무산되었다. 1982년 미국의 생명
공학
회사 제넨텍이 인공적으로 합성한 인슐린에 유전자 특허를 부여받으면서, 유전자에 대한 특허 문제는 생물학계와 사회를 떠들석하게 만들게 된다. 이후 인간유전체계획이 가속화되는 1990년대에 이르면 ... ...
국산 첫 임상 바이오 소재, 국내서 검증 못해 해외 실험실 전전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개발에 참여한 한형섭 KIST 생체재료연구단 선임연구원은 "한국에서 소재를 개발하는
공학
적 연구는 많지만 이를 설명하는 중개나 기초연구는 잘 이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국 중개임상 인프라 대부분 신약 개발이나 암 연구에 몰려있는 탓도 컸다. 한 선임연구원은 2016년 이 소재를 안고 ... ...
유기반도체 물질 '익센' 79년만에 첫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합성했다. 박영석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교수와 이근식 교수, 신형준 신소재
공학
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 물질 중 하나인 익센 분자를 처음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26일 밝혔다. 탄소 유기 반도체는 실리콘 반도체 소재와 달리 유연하고 가공하기도 쉬운 ... ...
빌 게이츠도 주목한 혁신 의료기기 기업, 한국인 연구자가 주축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2019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 기술은 지난해 발표 당시 순수과학과
공학
의 발견을 주로 다루는 국제학술지에 응용기술이 게재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과 함께 큰 화제가 됐다. 사이언스는 당시 신생아 전문가의 별도 기고까지 실으며 “의료 모니터링 분야의 혁명을 일으킬 ... ...
여학생 이공계 기피? "겪어보면 사라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행사를 통해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경험을 가질 수 있던 여학생들이 우수 여성
공학
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 ... ...
기공 많아지면 더 튼튼해지고 스스로 치유되는 금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3
아주 작게 만들어 강도가 높고 가벼운 소재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주영 신소재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3차원 나노 다공성 금 소재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다공성 금 소재 내부의 기공을 작게 만드는 방법을 이용해 쉽게 부서지는 다공성 소재의 단점을 해결한 것이다. 물질 내부에 ... ...
“백신 개발돼도 코로나 이후 시대는 이전과 같지 않을 것”
과학동아
l
2020.08.23
시청자들이 실시간으로 남기는 질문에 답하는 시간도 가졌다. 지난 5월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과 공동으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한 송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백신 개발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안전성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러시아가 자체 개발해 세계 최초로 등록한 코로나19 백신 ... ...
뇌신경과학 국제학술지 표지 논문 장식한 KAIST 학부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8.21
시각 피질 신경망 회로 구조를 형성하는 원리를 규명한 논문이다. KAIST는 바이오및뇌
공학
과 4학년에 재학중인 김진우 학생(22)이 백세범 교수 지도로 수행한 학부생 개별연구 프로젝트에서 두뇌의 시각 피질에서 관측되는 주요 신경망 연결구조 중 하나인 ‘장거리 수평 연결’이 두뇌 발생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