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다녀야 하는 것이 단점입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최근에는 EHA(Electro Hydraulic Actuator)라는 작은 유압식 액추에이터도 개발됐습니다. 실린더를 없애고 펌프로 로봇의 관절 속에 바로 유압을 공급하는 방식이어서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습니다.국내에서 유압식 액추에이터로 로봇을 만드는 곳은 한국 ...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정자 보관법정액을 채취한 뒤 먼저 세포가 얼지 않도록 냉동보존액과 섞는다. 그리고 작은 용기에 담아 영하 196℃의 액체 질소 탱크에 넣는다. 얼린 정자는 혈액형 별로 보관하며, 나중에 필요한 양만 녹여서 사용한다. 정자를 기증하는 사람은 누구?임신 능력이 있는 30대 이하의 남자로, 혈액 검사 ... ...
- 빛 입자로 즐기는 하노이의 탑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미국의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 존 마르치니스 교수팀은 빛 입자가 진동하는 현상을 이용해 하노이의 탑 게임을 할 수 있다고 물리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 ... 있다. 한 기둥에 크기 순서대로 쌓여 있는 원판을 다른 기둥으로 차례로 옮기는데, 큰 원판이 작은 원판 위에 놓이면 안 된다 ... ...
- PART 2 수학이 밝히는 자전거의 5가지 신비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수 있게 된 데는 기어의 역할이 크다. 페달을 앞바퀴에 직접 연결했던 19세기에는 바퀴가 작은 자전거는 상상도 할 수 없었다. 바퀴가 작으면 속도를 내기 힘들고 그러면 중심을 잡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하지만 기어가 등장하면서 페달의 힘을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됐다. 바퀴가 작더라도 ... ...
- [수학영재캠프] 길이 3등분기 작도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셈이 박사님은 사실은 ‘트라이섹토리’라는 행성에서 온, 네 개의 눈이 달린 아주 작은 외계인들과 만난 적이 있고, 그들과 계약하여 길이 3등분기를 만든 것이다. 이것은 전압계나 무전기처럼 생겼는데, 두 개의 탐침이 달려 있어서 그것을 주어진 두 점에 대고 단추를 누르면, 트라이섹토리인이 ...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더 낮은 온도는 ‘-’ 부호를 붙여서 표현하는데, 영하 20℃는 -20℃라고 써. 이처럼 0보다 작은 수를 음수라고 해. 음수는 자연수와 달라서 처음에는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어. 5에서 자연수 3을 빼는 5-3은 2가 되는데, 음수인 -3을 빼면 5-(-3)=8이 돼. 분명히 빼기를 했는데 숫자가 늘어나는 거지. ...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수학동아 l2011년 03호
- 활동하게 될 ‘당구계 얼짱’ 그녀는 정말 예뻤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작은 실수로 은메달을 차지한 그녀에게 먼저 포켓 당구 시범을 부탁했다. 평소 공을 힘으로 밀어 넣는 기자는 그녀의 시범에 입을 다물지못했다. 몇 번 공을 어느 구멍(포켓)으로 넣어달라고 주문하자 주문과 동시에 ...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매년 반장 선거를 할 때 칠판에 적는 것처럼5개씩 묶여 있다. 이처럼 사람은 세기 쉬운 작은 단위 몇 개를 모아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고 그것을 큰 단위로 올려나가는 방법으로 수를 셌다. 이러한 셈 방식은 늑대 뼈 외에도 조개껍데기, 벽화 등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에서는 ... ...
-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학자수학동아 l2011년 03호
- 개스킷에 관한 내용을 강연했다.*아폴로니안 개스킷: 커다란 원 안에 접하도록 작은 원을 반복적으로 채워 넣은 그림을 말한다. 김주리 교수_매사추세츠공대(MIT) 수학과KAIST 수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 교수는 세계 최고 이공계 대학인 미국 MIT 수학과의 ... ...
- [수학실험실] 피보나치 계단 위에서 본 나선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이 나선을 피보나치 나선이라고 한다. 피보나치 수열에서 이웃한 두 수에 대해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어 비율을 구하면 두 수가 커질수록 그 값은 황금비(약 1.618)에 가까워진다. 그래서 피보나치 나선을 ‘황금나선’이라 부르기도 한다.피보나치 직사각형과 직육면체피보나치 직사각형피보나치 ... ...
이전4024034044054064074084094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