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가속도가 0보다 훨씬 클 때 수정뉴턴역학의 근사치가 기존의 뉴턴역학이다. 이를 이용하면 암흑물질의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도 은하 회전 속도의 불일치(보이는 물질의 중력보다 훨씬 더 큰 중력이 필요할 만큼 은하의 공전 속도가 빠른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그러나 수정뉴턴역학은 곧 한계를 ... ...
- [Interview] 낙심한 물리학자, 귀인(貴人) 만나 ‘인생 역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계기였다.두 사람의 연구는 2차원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상전이를 위상수학을 이용해 설명한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온 당시에는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논문을 발표할 수 있었던 것도 운이 좋았다. “논문 심사를 맡은 사람이 논문을 이해하지 못했어요. 다른 학자들이 보고 판단하게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방법으로 상태를 바꿔 연산을 한다. 위상 양자컴퓨터는 빛의 편광이나 전자의 스핀 등을 이용하는 다른 방법에 비해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초전도체에서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담는 그릇인 위상 소용돌이는 굉장히 안정적이어서 전자의 스핀처럼 주변환경의 작은 변화에 따라 상태가 ... ...
- 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적정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켤 수 있답니다. 무게도 일반 축구공과 30g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요.이외에도 자전거를 이용한 ‘분뇨 펌프’, 페루에 보급된 자전거 세탁기 ‘바이슬아바도라’ 등 인간동력을 사용한 다양한 적정기술들이 성공적으로 보급되고 있답니다.# 연료 사용도 줄이고, 돈도 절약하고, 내 뱃살도 빼는 1석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박쥐로 바뀌었지요. 과학자들은 네 속도를 어떻게 알아낸 거야? 저는 바람을 이용해 날아다녀요. 바람이 뒤에서 불어올 때는 속도를 줄여 바람에 몸을 맡기고, 앞에서 불어오면 비행속도를 높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지요.미국 테네시대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으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개발했답니다.이렇게 정전기를 이용한 발전기는 만들어지자마자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 기술로 각광받고 있어요. 무선 네트워크용 센서나 웨어러블 기기가 늘어나는 만큼 앞으로 더 활발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답니다. # “흠…. 그렇다면 사육실 폭발이 정전기와 ... ...
- 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굴러가는 자전거랍니다.이 대회의 이름은 ‘세계 인간동력 챌린지(WHPSC)’. 인간동력만을 이용한 초고속 자전거로 최대한 빠르게 달리는 대회인데, 해를 거듭할수록 기록이 점점 좋아지고 있어요. 어떻게 사람의 힘만으로 치타보다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을까요?이번 대회에서 신기록을 세운 초고속 ... ...
-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선물을 갖다 주는 것도 내 몫이야. 우주에서 돌아다니려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야 하는데…. 으악, 태양 전지판이 찢어져 있네?! 태양 에너지를 못 쓰면 우주에서는 도대체 어떻게 돌아다니지?달 표면 탐사도 내 힘으로! 인간동력 로보발전소가 없는 우주에서는 지구에서부터 가져간 로켓연료나 ... ...
- [특별 인터뷰] 깃털 달린 육식공룡에 빠지다! 쉬 싱 박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여겨지기 시작한 건 지난 1861년 시조새 화석이 발견된 이후였어요. 시조새는 깃털을 이용해 하늘을 날면서도 새와 파충류의 모습을 모두 갖고 있어요. 그래서 시조새를 공룡이 현생의 새로 진화하는 과정의 중간단계 동물로 본 거지요.반면 고생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새의 조상은 ...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그래서 사람들은 새의 날갯짓을 주의 깊게 연구했고, 마침내 날개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는 방법을 터득했죠. 덕분에 거대한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고, 우리는 한 시간 만에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갈 수 있게 됐답니다.비행기가 날 수 있는 건 날개가 ‘양력’이라는 힘을 받고 있기 때문이에요. ... ...
이전4024034044054064074084094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