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하지만 마음만 먹는다면 중장거리탄도탄부터 ICBM에 이르는 모든 탄도탄을 몇 년 사이에 수백 기 이상 제작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런 판단은 일본의 우주개발역사를 통해 내릴 수 있다. 일본이 개발한 우주발사체 ‘M-V’로켓은 발사추진력이나 비행성능으로 미뤄 볼 때 미국의 ICBM인 ... ...
- 오늘 나의 죽음은 어디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위해 스피글할터 교수는 45세에서 79세 사이 영국 남녀 2만 244명의 건강관련 습관과 수명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를 비롯해 다양한 연구 자료를 참고했다.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평균 수명이 6.5년 정도 더 짧았다. 스피글할터 교수는 흡연자들이 만 17세 이후로 평균 흡연량인 일일 16개비를 매일 ... ...
- 세계의 지하철 구조, 수학적으로 서로 비슷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중에서도 가장 큰 구조를 지하철의 핵(Core)이라고 정했다. 또 역과 역을 연결하는 선 사이의 수치적인 관계를 찾고자 했다.그 결과 몇 가지 수학적인 관계식을 찾을 수 있었다. 역을 잇는 선의 개수는 대략 역 개수의 제곱근 값과 비슷했다. 또 핵 안에 있는 역의 20%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역과 연결돼 ...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수가 b인 두 자리 자연수 A=10a+b를 제곱한 값의 범위는 10부터 99까지의 제곱수인 100과 9801 사이이다. 따라서 두 자리 자연수 10a+b의 제곱수는 세 자리의 자연수이거나 네 자리의 자연수다.첫 번째로 두 자리 자연수 A=10a+b를 제곱해 백의 자리가 x, 십의 자리가 y, 일의 자리가 z인 세 자리 자연수 X=100x+10y ...
- 미분방정식으로 미래를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2년 06호
- 미래를 어떻게 예측하죠?민조홍 교수 : 미분방정식은 연속적으로 변화는 양과 변화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이에요.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변화를 분석하면,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있죠. 그런데 변화는 아주 가까이에 있는 것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작은 영역에서 일어난 ...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수학동아 l2012년 06호
- 탁구대의 범위를 벗어나느냐 마느냐가 결정된다.*포핸드로 공을 칠 때는 공의 0°~90° 사이를 공략하면 된다. 공과 탁구 라켓의 접점이 90°를 벗어나게 되면, 공이 하늘로 뜨거나 회전 방향이 바뀌어 공을 원하는 위치로 보내기 어렵다.*포핸드 라켓을 쥔 팔의 방향에서 앞쪽으로 공을 치는 방법.둘 ...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쓰고 있는 10진법도 인도에서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 발명했으며, 인도의 무역업자 사이에서 700년 무렵부터 널리 사용됐다.삼각함수도 인도에서 발달했다. 원시적인 삼각함수 개념은 그리스 수학에서도 발견되지만, 현대적 삼각법은 인도에서 시작됐다. 400년에 처음 등장한 인도의 삼각함수는 ...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6호
- 범죄자의 거점을 예측하는 수사 기법으로, 두 가지 방식이 쓰인다. 먼저 범행 위치들 사이의 중심 지점을 찾는 공간 분포 방식이 있다. 범죄가 일어난 위치들의 분포를 보고 거리의 평균 지점 또는 중간점을 찾거나, 범행 위치들과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위치를 찾는 식이다. 하지만 범죄자가 실제로 ... ...
- [정보] 부등식,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더 만들었지. 그런데 그만 실수로 손에서 반지를 놓치는 바람에 모조품이 진짜 금반지 사이에 섞이고 말았어! 진짜 금반지는 모두 무게가 같고, 난 모조품이 진짜 금반지와 무게가 다르다는 사실만 알고 있네. 안타깝게도 모조품의 무게가 금반지보다 많은지 적은지는 미처 알아내지 못했어. 게다가 ... ...
- 딱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무려 160개 학교에서 STEAM을 시작한다고 해. 작년에는 불과 16개 학교에서 시작했는데, 1년 사이에 10배나 늘었지 뭐야. STEAM은 단순히 다섯 과목을 한 번에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야. STEAM의 핵심은 바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지. 문제를 푸는 연습을 꾸준히 한다면 그런 능력을 쉽게 ... ...
이전4024034044054064074084094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