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모음은 모두 점과 선
분
으로 만들어 몇 개의 버튼만 있어도 한글을 입력하기에 충
분
하기 때문이야. 휴대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어. 첫 번째, 천지인방법은 모음을 최대한 적게 입력하기 위해 만든 방법이야. 모음 버튼은 겨우 세 개. 세 개의 버튼으로 20개가 넘는 모음을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휴대전화로 인터넷은커녕 전화통화도 할 수 없다. 우리나라 2세대 휴대전화 방식인 코드
분
할다중접속(CDMA)과 정보를 예로 들면 이 방식은 사람의 음성과 정보를 수십만 개의 조각으로 잘게 나눠서 무선주파수에 실어 전송한다. 그리고 이 조각을 다시 순서대로 조립해서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음성과 ... ...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는 왜상 그림을 그렸다.원기둥 거울 대신에 원뿔 거울을 통해 보면 어떨까? 평면에서
분
리돼 있는 대상을 원뿔 거울로 보면 서로 연결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부채꼴을 이용해 원뿔 거울을 만들어 보고 이를 확인해 보자. ◎미션◎ 거울을 소재로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털보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나빠질 것을 우려한 회사에서 조용히 처리한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대형 사기사건의 4
분
의 1은 회사의 고위 간부가 저질렀다고 하니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닐 듯하다.이타적인 사람은 실패하고 악독한 이기주의자가 법의 테두리 안에서 교묘하게 줄타기를 하면서 성공해 도리어 인정받는 아이러니가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다. 우리가 지표에서 방출하는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여러 오염기체들이 대기의 구성성
분
을 변화시키고, 그것이 이제는 대기 상층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지면 근처의 이산화탄소는 지표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흡수한다. 그리고 다른 기체들과 충돌하면서 발생한 열이 주위 공기를 데운다. ... ...
나노 용어 알고 쓰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도체와 반도체 나노선(nano wire)과 속이 빈 나노튜브(nano tube), 속이 찬 나노막대(nanorod)로 구
분
했다. 기술표준원은 “나노 제품이 늘어나면서 관련 용어에 혼란을 초래하고있다”며 “새 표준은 국제표준화기구(ISO)나노기술위원회의 기준을 근거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공평하게 정해진 규칙이 있다면 학생도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
분
의 경우 교사가 스스로 판단해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규칙보다는 공포를 이용해 통제하는 경우가 많다. 체벌을 금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런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설령 보상을 통한 적절한 강화가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다양한 자원 확보 방안을 모두 동원해 산업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며 “소재, 화학
분
야 기초연구를 통해 희소금속을 대체하는 신물질 개발 역시 게을리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중성자별은 1초에 한 바퀴를 돌 정도로 자전 주기가 짧아진다. 이때 양극에서 물질이
분
출되면서 등대가 깜박이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것을 펄서(pulsar)라고 부른다.질량이 아주 큰 별은 최후를 맞을 때 중성자별보다도 더 수축해 마치 모든 질량이 한 점에 모인 것처럼 된다. 이런 천체가 블랙홀(black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수상자 업적➋, ➌ 세드리크 빌라니 교수와 응오바오쩌우 교수빌라니 교수님은 기체
분
자에 큰 충격을 줘도 결국 평형상태, 즉 충격을 받기 전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어. 응오 교수님은 정수론과 함수론이 서로 동떨어진 학문이 아니라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랭글란즈의 추측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