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그래서인지 색다른 기능이 있다. 바로 동작인식이다. 아톰은 상대의 동작을 그대로
보고
따라할 수 있다. 스파링을 하면서 상대 선수의 움직임을 조사하기 위해 넣은 기능이다. 이 기능은 지금도 마이크로소프트가 발매한 동작인식게임기 ‘키넥트’처럼 어느 정도 구현돼 있다. 로봇 권투 시합에 ... ...
2012학년도 수시 논술, 면접 마무리 전략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말고 좋은 인상을 줘야 한다.3) KAIST 수시 2차 일반전형KAIST는 수험생의 다양한 역량을
보고
자 새로운 면접형태인 종합면접을 도입했다. 문제풀이식 구술면접과는 다르다. 40분 그룹토의를 시작으로 창의성 면접에서 5분 동안 사진의 과학내용을 설명하는 영어면접을 진행한 후 25분 동안 수학과 과학에 ... ...
창업의 필수 덕목, 돈과 사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별다른 수입 없이 지내야하는 기간이 길다는 뜻이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파이퍼제프리의
보고
서에 따르면 앱스토어에 등록된 유료 앱의 연평균 수입은 682달러(약 80만 원)에 불과하지만 평균 개발비는 3만 5000달러(약 4000만 원)에 이른다. 실리콘밸리는 장기간 인내심을 갖고 투자하는 투자자가 ...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다시 삼일을 공부하도록 한다. 그래야 쉽게 지치지 않는다. 벽에 붙인 계획표를 수시로
보고
각오를 다진다. 계획이 조금씩 깨지면 보완해서 새롭게 실천하면 된다. 이렇게 해서 결과가 나오고 공부법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야 더 흥이 나서 공부할 수 있다 ... ...
대한민국 여성 과학인재를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용한다. 이 때 초청강연을 듣거나 탐구실험을 하고 팀별로 소논문 수준의 탐구
보고
서도 작성한다. 이것을 모아서 연말에 책으로 만든다. 방학에는 2박 3일 여름과학캠프를 한다.과학중점과정이 진학에 어떤 도움을 주나?1학년 때 과학교양수업을 듣고 다양한 수학·과학체험활동을 한다. 이런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하다 홍 교수가 로봇공학자가 된 사연이 궁금했다. 그는 여러 인터뷰에서 “스타워즈를
보고
로봇에 빠져들었다”고 말해왔다.“첫 장면부터 홀딱 빠졌어요. ‘빰~빰 빠바바 빰 빰’하는 음악 소리와 함께 커다란 우주선이 위로 올라가잖아요. 그때부터 눈을 뗄 수가 없었어요. 키 작은 R2D2, 키 큰 C ...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서울대 교수는 “항상 도전하라. 때로 현실적 문제에 부딪히지만 문제를 긍정적으로
보고
노력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해 학생들의 박수를 받았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결과에 관계없이 여러분 모두가 챔피언”이라며 “사이언스 챌린지는 앞으로 과학에 재능 있는 청소년들에게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까맣게 잊고 만다. 만약 주인이 외출했다 돌아와 돗자리 위에서 말라붙은 오줌 자국을
보고
혼을 낸다면, 개는 주인이 화를 낸 이유가 외출에서 돌아와 기분이 나빠져서라고 착각할 수 있다. 이 상황이 반복되면 개는 주인이 외출에서 돌아올 때마다 커튼 뒤로 숨을지도 모른다.우리는 가장 잘 알고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연구소 안으로 들어가 보자! 민물고기가 궁금해!평소에 물고기를 좋아해서 꼭 한번 키워
보고
싶었는데, 오늘 본다니 정말 기대돼! 그런데 사실 난 강이나 호수에 사는 민물고기에 대해서는 아는 게 별로 없어.나도 그래. 이 연구소에는 민물고기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시는 분이 있을 것 같은데…. 어!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곡선을 그리며 날아가 목표물을 명중시킨다. 바로 이 곡선이 포물선이다.이 포물선을
보고
있노라면, 어디선가 본 듯해 익숙하다. 설마 그렇게 우리를 괴롭히던 수학책에서 본 바로 이차함수?! 그렇다. 이차함수 단원에서 공부했던 그 포물선이다. 포물선이란 물체를 공중으로 비스듬히 던져 올릴 때,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