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육뉴스] 수학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라! 제2회 매스 아트 작품 공모전 개최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공모전은 7월 1일부터 31일까지 작품을 접수합니다. 참가 방법과 공모전 내용은 국립광주
과학
관 누리집(www.sciencecenter.or.kr)에서 확인세요!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3. 외계인이 우리를 찾게 만드려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태양계의 모습 등을 그림으로 나타내고 수소의 파동이나 인간의 키를 이진수로 적었죠.
과학
자들은 계속해서 수학으로 만든 메시지를 우주로 보내고 있어요. 최근에는 주로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전파 메시지를 우주로 보낸답니다. 외계인도 알 수 있는 수학 개념은?그런데 여러분이라면 어떤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괴롭혔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인류의 영양 상태와 위생이 개선돼 면역력이 좋아졌고,
과학
기술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바이러스에 대응할 백신과 바이러스를 물리칠 치료제도 개발됐다. 하지만 바이러스도 돌연변이라는 전략을 앞세워 바뀐 환경에 적응하며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위세를 ... ...
코로나19 팩트체크┃마늘 먹으면 예방 효과 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들어있는 마늘이 바이러스 저항력을 높여주는 것 같다는 기사를 보도하기도 했다.
과학
적 근거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2009년 신종플루와 2012년 메르스 등 새로운 감염병이 유행할 때마다 마늘과 바이러스 예방의 상관관계는 꾸준히 거론됐다. 코로나19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는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공간에도 이런 바이러스들이 살고 있을까. 사실 우주에 생명체가 살 것이란 추정 하에
과학
자들은 오랫동안 우주에서 세포로 이뤄진 생명체의 존재를 추적해왔지만, 아직 발견된 적이 없다. 그러니 세포성 생명체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 또한 발견된 적은 없다.물론 바이러스가 우주 공간에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폴리오바이러스가 신경 조직에서만 증식한다는 학계의 정설을 뒤집는 결과였다.세
과학
자의 연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4년 12월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세포를 모두 식세포라 칭한다. 당시 혈청만이 병원체를 죽인다고 주장하던
과학
자들은 메치니코프의 성과를 평가절하했다. 식세포가 죽은 병원체를 처리하는 청소부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메치니코프가 콜레라균에 감염된 기니피그 복강에서 식세포와 살아있는 균이 동시에 존재하는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병원체에 감염되면 쉽게 목숨을 잃는 시대였기에 면역 혈청 연구는 더욱 중요했다. 당시
과학
자들은 병원체에 감염된 혈액에는 해당 병원체를 특이적으로 공격하는 항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벨기에 출신 면역학자인 쥘 보르데도 면역 혈청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면역 혈청을 체내에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단일클론항체 개발은 면역학 연구에 대변혁을 가져왔다. 단일클론항체 덕분에
과학
자들은 특정 항원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정밀하게 만들 수 있게 됐다. 단일클론항체는 오늘날에도 질병 진단 시약과 치료제 등에 다양하게 쓰인다. 특히 2019년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세포를 끌어들여 면역반응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
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한편 1973년 당시 록펠러대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랠프 스타인먼은 최초로 수지상세포를 발견했고, 2011년 스타인먼이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의 연구실은 수지상세포만 연구했다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