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4,5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한 「무기없는 혁명」
과학동아
l
199008
있다. 정보사회 초입에 들어섰다이러한 정보사회는 언제 오는가. 학자들은 다가오는 21
세기
를 정보사회라고 부르는데는 일치하지만, 현재 정보사회에 진입했는지, 아니면 아직도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또 나라마다 정보화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 ...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199008
10월까지 열린 '책의 전시회'에 출품된 것이다.'직지심체요절'은 전문가들에 의해 곧 14
세기
의 금속활자본임이 확인됐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한국 학계가 흥분의 도가니가 된 것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매스컴도 흥분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온통 금속활자 인쇄물과 고려의 책들에 관한 기사로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08
남북한 과학기술교류는 '어느날 갑자기' 찾아올 가능성이 큽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서 반
세기
의 단절을 극복할 수 있는 테마들을 준비해 두어야 할 것입니다. 생물학 지질학 분야가 남북한 학자를 모두 쉽게 가까워질 수 있는 분야가 아닐까 생각합니다.과학기술도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라고 볼 때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08
언급할 때 대체로 그 순기능적인 면만 강조해 온 인상이 짙다. 강조의 정도가 아니라, 21
세기
에 진입만 하면 가만히 있더라도 정보사회라는 열매가 저절로 우리 앞에 나타날 것이라는 환상이 심어져 왔다고 말해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미래의 정보사회에 대비하고 정보사회가 우리에게 유익한 ... ...
낙하속도가 질량과 무관함을 증명한 「피사의 사탑」 실험은 실제 있었을까?
과학동아
l
199008
생각한 것과 같다.필로포누스의 의문아리스토텔레스의 낙체이론에 대해서 이미 6
세기
경 비잔틴의 학자 요아네스 필로포누스(Joannes Philoponus)가 연구를 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에 의심을 가져 실험한 결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수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만일 당신이 한 쪽이 다른 ... ...
진공의 세계를 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08
채우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진공이라고 볼 수 없다.6 진공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17
세기
이탈리아 과학자 토리첼리다. 그러나 실제로 증명한 사람은 프랑스의 파스칼이다. 토리첼리의 진공이 대기압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진공혐기'에 의해 생기는 현상이라는 주장을 부정하기 위해 파스칼은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07
최근 프랑스 파리국립도서관에서 발견돼 전세계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그것은 12
세기
에 인쇄된 불경인 '직지심경'이었다.그러나 고려의 금속활자 인쇄술은 13
세기
이후 근 2백년 동안 별로 큰 발전을 이루지 못한 것 같다. 고려인들은 특수한 현실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청동활자를 ... ...
원자 하나씩
과학동아
l
199007
이용해서 설명했다.그러나 원자는 존재하더라도 너무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았다. 19
세기
의 최고의 현미경조차도, 빛의 파장이 원자를 그냥 지나칠 정도로 커서 원자의 모습을 보여줄 수 없었다.따라서 어떤 화학자들은 '원자'라는 것이 유용한 개념이지만 그것이 반드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 ...
쿼크와 렙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07
의해 원소들이 화학적 성질에 따라 규칙적으로 분류되고(주기율표), 이러한 규칙성이 20
세기
에 들어와서 원자의 구조가 밝혀짐에 따라 이해됐던 상황과 비슷하다.겔만은 그때까지 알려진 해드론들을 세종류의 쿼크의 조합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었다. 중이자도 마찬가지로 세개의 쿼크로 설명이 ... ...
Ⅱ 생명체의 사령탑─뇌하수체
과학동아
l
199007
따라서 시상하부에서 합성·분비돼 뇌하수체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밝히고자 하는
세기
의 과학적 경쟁이 20
세기
중반에 시작됐다. 이 경쟁의 승리자는 길레민(Guillemin)과 섈리(Schally)였다.그들은 독립적으로 뇌하수체에서 합성·분비되는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을 조절하는 촉진물질(차후에 이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