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11
생물이 생을 마치는 모습은 모두 제각각이다. 하루살이보다 짧게 사는 생물도 있고, 집단의 수를 줄이려고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 종류도 있다. 코끼리는 죽을 곳을 스스로 찾아간다는데 과연 사실일까.중국 전국시대의 철학자 장자(壯者)는 부인이 죽었을 때 울지 않았다고 한다. 울기는 커녕 항아 ... ...
유전자 조작으로 빨리 늙는 쥐 생산
과학동아
l
199911
핵심고리라는 것을 증명한다면 우리는 생명체의 수명 시계를 갖게 되는 셈이다.성균관
대학
교 생명과학연구소 포유류 분자유전학 실험실의 이한웅 교수는 이 생명의 시계를 누구보다 확실하게 찾은 사람이다. 이 교수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텔로머라제를 생산하는 유전자만 없고 다른 기능은 모두 ... ...
2000년은 21세기
과학동아
l
199911
2001년부터 시작된다던 21세기가 사람들의 정서에 밀려 2000년으로 앞당겨졌다. 사람들이 바라는 21세기와 세기와 천년을 정하는 규칙 사이에 차이가 생기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이제 2000년이 며칠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세기와 천년을 마감하고 새로운 세기와 새로운 천년의 출발을 축하하는 행사가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11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과거 난치병으로 알려진 치명적 질환들이 하나씩 정복되는 추세다.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은 암을 비롯한 각종 난치병 치료의 물꼬를 확실하게 틀 것이다. 하지만 병원균과의 전쟁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새로운 세기의 시작이 바로 눈앞에 다가왔다. 이제 20세기의 사고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화학상-아메드 즈웨일
과학동아
l
199911
전부였던 것이다.분자들의 반응과정도 볼 수 있다그러나 1976년 칼텍(캘리포니아 공과
대학
)의 화학과 교수로 부임한 즈웨일 교수는 이전까지 불가능하게 여겨왔던 화학반응의 시간에 따른 변화, 즉 ‘새로운 분자 탄생의 역사’를 직접 관측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신하고 그 즈음(1980년대초) 새로이 ... ...
회충 헤모글로빈 산소 파괴하는 매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11
비해 산소에 대한 친화도가 2만5천배나 높은 헤모글로빈을 가지고 있다. 미국 듀크
대학
의 조나단 스태믈러박사 연구팀은 회충의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산소를 파괴하는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네이처지에 보고했다.회충의 헤모글로빈은 산소에 대한 친화도가 너무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11
일기예보는 내일의 의상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우주선 발사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기예보의 소비자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일기예보가 공급되는지 살펴보자.내일 저녁부터는 쌀쌀해져서 주말엔 예년 기온보다 떨어지겠습니다. 내일 중부 지방은 비올 확률이 20%로 비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11
지구가 거친 숨을 몰아 쉬고 있다. 나날이 올라가는 지구의 온도 때문에 극지방의 빙하가 녹고, 기상이변이 속출하며, 사막이 늘어가고 있다. 또 오존층이 파괴돼 생물들의 생존이 위협당하고 있다. 우리는 위기를 극복해낼 수 있을까.황해 바다는 지난 5만년중 2만5천여년 동안 바닥을 보였고 지금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11
있는 일이다.1988년 미국에서 최초의 특허동물 '하버드 마우스'가 탄생했다. 하버드
대학
교의 레더 박사팀이 만든 생쥐로, 암세포의 증식이 쉽게 일어나도록 유전자를 변형시켰다. 인간의 암 발병에 대한 연구를 진행시키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질환모델' 동물이다.최근 미국의 생명공학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11
담당분야 전문가의 감수가 있었다.① 초신성으로 인정받기 위한 조건을 찾아라서울
대학
교 천문학과의 초신성(超新星, supernova) 탐사 팀은 1999년 6월18일 탐사의 첫 개가로서 아벨 은하단 2065 안에 있는한 은하에서 초신성을 발견하고, 8월14일 국제천문연맹으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았다. 초신성 탐사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