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10,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로제타 탐사선, 혜성 착륙 장소를 정하다과학동아 l201410
- 유럽우주국(ESA)은 9월 15일, 혜성탐사선 로제타의 착륙선 필래가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표면에 착륙할 후보지 5곳을 발표했다. 11월 11일 착륙에 성공하면 혜성 표면에 착륙하는 첫 탐사선이 된다. ...
- [과학뉴스] 바다는 7대양과학동아 l201410
- 최근 골칫덩어리 바다쓰레기를 조사해 바다의 경계를 새롭게 밝힌 연구가 화제다. 호주 사우스웨일즈대 에릭 반 세빌 교수팀은 해양쓰레기를 분석해 대양을 7곳으로 재구성한 지도를 발표하고, 그 결과를 물리 학술지 ‘카오스’ 9월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물살이나 바람 같은 변수를 수학적 ... ...
- [과학뉴스] “공기 전염 에볼라는 당분간 불가능”과학동아 l201410
- “여러 세대 뒤라면 모를까, 적어도 지금 세대에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치명적인 감염병으로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공기 전염이라는 ‘날개’를 달 수 있을지 묻는 질문에,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정용석 경희대 교수(이과대학 부학장)는 이렇게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10
- 스스로 판단해 화기를 발사하는 ‘킬러로봇’이 곧 현실화된다고 한다. 과연 이런 ‘터미네이터’는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재앙을 가져올까, 아니면 유명한 ‘로봇 3원칙’처럼 윤리적 시스템을 도입해 대비할 수 있는 걸까. 로봇윤리에 대한 논쟁은 일상생활에 깊숙이 들어온 수많은 ‘봇(bot)’들 ...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10
- 환자들은 손과 발, 다리의 근력이 약해지고 가늘어진다. 수저질을 하거나 단추를 잠글 때 예전 같지 않다는 느낌을 받기도 하고, 근육이 움찔거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파괴된 신경세포를 대신해 살아있는 신경세포가 전력을 다해 신호를 전달하려 무리하기 때문에 루게릭병 환자는 피로를 쉽게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10
- 늦여름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뉴턴의 사과나무’ 옆에 노란 컨테이너 9개가 나타났다. 한 컨테이너 안에 들어서자 소수점 9자리까지 표시된 디지털시계가 제일 먼저 눈에 들어왔다. 사진작가는 지금껏 살아오면서 0.01초까지만 인식했던 자신과 달리 그보다 1000만배 더 정밀한 1억 분의 1초까지 ...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10
- 도감을 만드는 일은 ‘노가다’다. 눈에 잘 보이지도 않는 작은 생물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서 털끝 하나까지 특징을 기록해야한다. 사진한 장 찍는 일도 호락호락하지 않다. 둥그런 몸체를 가까이 찍다보면 초점이 나가기 일쑤다. 생물을 돋보이게 만드는 바탕 색지를 찾으러 시장바닥을 뒤지는 ...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410
- 거짓말을 들키지 않기 위한 다양한 처세술(예를 들면 억울하다는 표정을 지으며 눈물을 글썽거린다던가)을 많이 썼던 것 같다. 그리고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런 기술들이 꽤 잘 먹혔다.결국 ‘피노키오’ 이야기가 어린 시절의 나를 얼마나 정직하게 행동하도록 했을지는 좀 의문이다. 특히 거짓말을 ... ...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과학동아 l201410
- 누구나 한 번쯤 휴지조각이나 담배꽁초, 씹던 껌 같은 작은 쓰레기를 길가 빗물받이에 버려봤을 것이다. 빗물받이는 빗물이 도로에 고이지 않고 하수관으로 흘러가도록 도로에 뚫은 구멍이다. 바둑판 무늬의 철망 뚜껑으로 덮여 있다. 사람들은 훤히 보이는 길바닥 대신 캄캄한 구멍 속으로 쓰레기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10
- 일한 경험이 있는 인도 친구로부터 피자 만드는 법을 배웠다.조심해야 할 것도 많다. 선글라스를 끼거나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으며 걷는 건 금지다. 방울뱀과 같이 독이 있는 동물을 모르고 밟고 지나가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다. 특히 풀이 많거나 길이 아닌 곳을 걸어 갈 때는 온몸의 감각에 ... ...
이전4024034044054064074084094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