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스페셜
"
시작
"(으)로 총 4,79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능력이 점차 떨어진다. ①배아줄기세포&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 배아는 분열을 막
시작
한 상태의 수정란을 뜻한다. 배아줄기세포는 배아에 들어있으며, 인체 모든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줄기세포로서는 최선의 조건이지만 배아를 생명으로 본다면, 사용에 윤리적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분석하는 툴을 개발했다. 후드 교수와 함께 시스템생물학을 질환에 적용하는 연구도
시작
했다. 연구 대상은 광우병이었다. 광우병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에 의한 감염이 아닌, 프리온이란 단백질에 의해 감염되는 질환이다. 2002년부터 후드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광우병에 관련된 유전자 33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상징하는 동물이다. 우리 조상들은 매일 새벽 수탉이 홰를 치는 소리에 잠을 깼고 하루를
시작
했다. 대다수 사람들이 도시에 거주하는 지금은 잊힌 풍경이 됐지만 닭의 해를 맞아 ‘일주생물학(circadian biology)’ 연구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참고로 지난해 ‘사이언스’(11월 25일자)에 관련 특집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
2017.01.04
CFC가 무슨 일을 하는지 규명해보기로 했다. 박사후연구원 마리오 몰리나와 연구를
시작
한 롤런드는 성층권에 도달한 CFC가 자외선으로 쪼개져 염소가 생기고 시세론과 스톨라르스키가 제안한 것처럼 오존층을 파괴함을 입증했다. 이들은 이 결과를 1974년 ‘네이처’에 발표했고 언론에도 알려 ... ...
[사이언스 지식IN] 우리 고양이, 조류독감에서 안전한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1.02
H5N6가 고양이를 감염시킨 것도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2014년 중국에서 H5N6가 유행하기
시작
한 뒤 고양이를 감염시킨 적이 있었죠. 또, 2016년엔 고양이가 H7N2라는 다른 종류의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적도 있습니다. Q3. 그럼 고양이도 이제 살처분 해야 하나요? 글쎄요. 살처분이 꼭 답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NASA)에서 인턴을 하며 물리학자들이 연구 모습을 지켜보고 물리학에 진지하게 접근하기
시작
했다. 시카고대에서 초전도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1995년 미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에릭 코넬 교수팀에 박사후연구원으로 합류한다. 진이 오기 수개월 전 코넬 교수팀과 그의 스승이자 동료인 ... ...
[사이언스 지식IN] 고양이가 조류독감에 걸렸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1
하나요? 태국 동물원 사태는 호랑이가 조류독감에 감염된 닭고기를 먹으면서
시작
됐습니다. 이때 닭고기의 조류독감 감염 규모와, 어떤 호랑이가 해당 닭고기를 먹었는지 정확하게 파악이 되진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호랑이가 다른 호랑이에게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바이러스를 ... ...
[사이언스 지식IN] ⑤ 곧 B형 독감이 유행한다고요? A형 독감과 무엇이 다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6
증상이 나타난지 48시간 안에 먹어야 효과가 바로 나타나고, 한 번 먹기
시작
하면 증상이 완화되었다고 해도 5일 동안 먹어야 합니다. 약을 먹다 중간에 중단하면, 약에 내성이 생겨 다음에 약 효과를 볼 수 없게 될지도 모릅니다.(항생제를 끝까지 먹어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독감 의심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일하며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수학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을까 고민하기
시작
한 페퍼트는 1963년 인공지능의 개척자 마빈 민스키의 영입제의를 받고 대서양을 건너 MIT에 자리를 잡았다. 두 사람은 1969년 인공뉴런네트워크에 대한 책 ‘Perceptrons’을 함께 썼다. 페퍼트는 1985년 MIT에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
2016.12.23
범주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탐색했다. 브루너는 이런 연구결과를 교육에 적용하기
시작
했고 1960년 ‘The Process of Education(브루너 교육의 과정)’이란 책을 냈다. 그는 아이들의 인지발달이 단순히 나이가 들면서 저절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교육의 질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네갈의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