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25건 검색되었습니다.
권동일 서울대 교수 측정기술 美용접학회 핸드북 실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잔류응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앞서 지난해 국내 측정기술 중에는
최초
로 원자력발전소에서 미국기계학회(ASME)의 기술기준적용사례로 승인되기도 했다. 권동일 서울대 교수는 “발전소와 같은 현장에서 잔류응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새 기법으로 주목받고 ... ...
'수학 노벨상' 아벨상 첫 여성 수상자에 '수학계 여성 롤모델' 울렌베커 교수
2019.03.20
여성 수상자가 나오게 됐다. 지난해 세상을 떠난 마리암 미르자키니 교수가 2014년 여성
최초
로 필즈상을 받았었다. 미국 브랜다이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여성이라는 이유로 비주류 기관에서만 연구를 이어가던 울렌베커 교수는 1980년대 초 비누거품 문제를 해결하고 주목을 받은 이후 198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지구상에서
최초
로 하늘을 날았던 동물은 곤충이다. 하늘을 나는 일은 먹이를 발견하고 짝을 찾아 번식을 하고 새로운 서식처를 발견하거나 천적을 따돌리는데 더 없이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비행 능력 때문에 곤충은 3억5000만 년 전부터 지금까지 지구 생태계의 가장 번성한 생물군으로 성공 ... ...
"제철소 배출 미세먼지 30% 줄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질소산화물 탈질성능 90%이상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화물의 경우, 국내
최초
로 다공성 반응제 개발과 대량 제조방법 확립에 성공했다. 탈황제는 현재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소규모 제철소 소결로 설비에서 탈황 성능 90%이상을 달성했다. 두 기술 모두 광양 포스코 제철소 소결로 ... ...
촉발지진으로 결론난 포항지진, 유발지진·자연지진과 차이는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구조적으로 변형되거나 파괴되는 운동을 뜻한다. 촉발지진은 ‘인위적인 영향이
최초
의 원인이지만 그 영향으로 자극을 받은 공간적 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규모의 지진으로 이때의 지진은 대부분 조구조 운동으로 축적된 변형에너지를 방출한다’고 정의했다. 유발지진과 촉발지진은 단층면의 ... ...
포항지진, 지열발전에 의한 ‘촉발지진’
2019.03.20
있던단층에서 포항지진이 촉발됐다”고 결론 내렸다. 촉발지진은 인위적인 영향이
최초
의 원인이나 그 영향으로 자극 받은 공간 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규모의 지진으로, 이 때 지진은 대부분 기존에 축적돼 있던 변형 에너지를 폭발시킨다. 이는 지구 내부에서 유체 주입으로 공극압과 응력이 ... ...
KAIST에 육군 인공지능 협업센터 둥지…민간대학
최초
연합뉴스
l
2019.03.19
지역 다수의 연구기관을 아우를 수 있는 최적의 여건을 갖췄다고 보고 있다. 올가을 국내
최초
로 고려대·성균관대와 함께 AI 대학원을 개원하는 점도 고려했다. 교육사 관계자는 "문지캠퍼스에는 특히 국방 관련 교육·연구·정책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안보융합연구원이 있다"며 "국방과학기술에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
2019.03.19
코드를 만든 순간이다. 아이가 “헬로 월드(Hello, World)!”를 경험한 것이다. 아이가
최초
로 작성한 코딩을 실행한 화면이다. 마우스 조작이 서툴러 강아지가 엔트리봇보다 크게 만들어졌다. 아이가 코딩하는 모습을 바라보던 중 스치듯 한 생각이 지나갔다. 코딩 교육은 아내의 권유에서 시작됐다. ... ...
제23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이상엽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수석연구원과 채찬병 연세대 언두우드특훈교수가 선정됐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세계
최초
로 ‘시스템대사공학’ 분야를 창시해 석유화학 산업을 생물화학 산업으로 전환시켰다. 이 과정에서 여러 세포 공장과 생물화학공정을 개발해 생물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미생물로 플라스틱을 ... ...
복제견 '리스너피' 관악구에서 만난다
연합뉴스
l
2019.03.18
강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5일 밝혔다. 황우석 박사의 제자인 이 교수는 세계
최초
로 개 '스너피'를 복제하는 데 성공했으며, 빨간 형광 단백질을 몸 전체에 발현하는 복제 개 '루피'를 탄생시킨 동물 복제 분야 최고 권위자다. 이 교수는 이달 16일부터 연말까지 총 11회에 걸쳐 서울대 동물병원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