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443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름에서 물 모아~ 모아~ 모아~ 식수로
2014.09.15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려면 지금보다 규모가 큰
장치
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이
장치
가 성공적으로 작동한다면 물 부족 지역의 식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기술진은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인 ‘인디고고(www.indiegogo.com)’를 통해 자금을 모으고 있다. 1만405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충전 시간은 약 1000분의 1로 줄인 ‘수직구조 그래핀 플레이크를 이용한 고성능 저장
장치
’ 배터리 전극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배터리의 전극만을 개발한 것으로 상용화 과정을 추가로 연구해야 한다. 무인자동차 전문가인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플로우셀 배터리 등 ... ...
눈 깜박임 알아내 졸음운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9.05
방식 등이 있다. 생체적 특성이나 자동차 움직임을 분석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특별한
장치
를 장착하거나 자동차 종류·운전 유형 등을 미리 파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운전자의 얼굴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이 가장 실용적이라고 평가한다. 최기호 광운대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공장을 처음 만들 때부터 특정한 환경을 벗어나면 공장이 ‘폐쇄’되도록 다중의 잠금
장치
를 마련했다. 온도나 산소의 농도, 영양성분 등 어느 하나라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살 수 없게 한 것이다. 김 단장은 “산업혁명이 속도와 편의성을 가져왔다면 바이오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 ...
포기하지 않는 사람의 뇌는 다르다
2014.09.05
연구팀은 게임을 하는 동안 뇌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로 확인했다. 그 결과, 포기하지 않은 학생들의 뇌에서는 배측선조체와 복내측시상하핵 전전두엽 피질 부위의 활동성이 줄어들었다. 배측선조체는 시행착오를 통해 무언가를 배우는 것과 관련 있는 뇌 부위고, ... ...
인터넷 끊어져도 스마트폰으로 4개 언어 자동통역
2014.09.01
직접 전달되도록 해 사용성도 높였다. 이날 시연된 시험버전은 스마트폰에 휴대형 저장
장치
(USB)를 꽂아야 작동했지만 연말까지는 지니톡을 유료로 내려 받을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해 공개할 계획이다. 지니톡은 복잡하고 어려운 말 통역에 오류가 있는 경우도 있어 전문 통역사를 대체하기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해력 떨어지는 건 ‘내 탓’ 아닌 ‘뇌 탓’
2014.08.31
것이다. 원숭이가 문제를 푸는 동안 연구팀은 뇌-컴퓨터 연결(BCI·Brain-Computer Interface)
장치
를 통해 원숭이의 대뇌 피질에 있는 신경세포를 관찰했다. 그 결과 이곳에 있는 운동 신경세포끼리 연합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찾아냈다. 또 연구팀은 신경세포가 네트워크를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기능적으로 가장 잘 연결된 뇌 부위가 어딘지를 찾기 위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로 확인했다. 그 결과 머리 왼쪽 뒷부분을 자극했을 때 해마와 뇌 피질을 잇는 부분의 신경 연결이 가장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6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사람마다 수 cm의 차이는 있었지만 머리 왼쪽 ... ...
길이만 30km, 세계 최장 가속기 ILC
2014.08.28
전자와 같지만 양(+)전기를 띤 입자)가 정확히 충돌할 수 있도록 궤도를 조정해 주는
장치
다. 충돌 지점 1km 근처에 전기장을 형성하면 입자들이 이 공간을 지날 때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의 위치에 따라 전기장의 세기가 달라진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만약 입자가 정해진 궤도를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신경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간질이나 파킨슨병 환자의 뇌 전기 치료, BMI(뇌-기계 연결
장치
) 기술 개발, 사지마비환자의 신경연결기법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걸로 기대된다. 김봉수 KAIST 화학과 교수팀은 단결정 금 나노선을 이용해 세계에서 가장 가는 뇌신호 측정용 탐침을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