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33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126개국 해안 덮어버린 해조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3.11
지역과 경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1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2003~2020년 사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위성 ‘아쿠아’가 촬영한 약 76만개의 이미지를 분석했다. 아쿠아 위성은 2002년 우주에 쏘아 올린 극궤도 위성으로 지구관측이 주 목적이다. 그 결과 분석 대상에 포함된 153개 국가의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작년 겪은 폭설·한파·폭우·이상고온, 올해도 찾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세계 바닷물에 흡수돼 축적된 열량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 연구팀은 지난 1월 국제학술지 '대기과학 발전'에 지난해 전 세계 바다 수심 0~2000m에 축적된 열량이 전년도보다 약 11제타줄(ZJ·10의 21제곱 줄) 증가했다는 분석을 공개했다. 바닷물 ... ...
이재우 KAIST 교수, 美 화학공학회 석학회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거쳐 선정된다. 이 교수는 서울대 화학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화학공학과 박사 학위를 받고 뉴욕시립대에서 교수로 일하다 2012년 KAIST로 자리를 옮겼다. 이산화탄소 활용과 수소 생산기술, 반응 및 분리 공정 직접화 기술들을 개발한 공로로 석학회원으로 ... ...
[과학게시판] 한계도전 R&D 프로젝트 킥오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도전 과제를 직접 선정하고, 이를 해결할 연구개발(R&D) 과정 전반을 총괄하는게 골자다.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다르파·DARPA)의 R&D 방식을 도입한다는 것이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이달 10일까지 대전 컨벤션센터(DCC)에서 '원자력·방사선 응용 이동 무인 자동화시스템' 국제표준 개발을 위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기존 대비 50배 우수 데이터 압축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건의 비디오 시청 내역 데이터를 10KB 크기로 압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는 오는 5월
미국
에서 열리는 미 컴퓨터협회 웹 학술대회에서 발표된다. ■ 유종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수소 연료전지의 수명을 크게 개선할 고흑연성 탄소 담지체의 저온 합성법을 ... ...
"전세계 바다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 무려 230만톤"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이 거의 3배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커스 에릭슨
미국
비영리 환경보호단체 '5 자이어스 연구소(5 Gyres Institute)' 연구원 연구팀은 40년간 전세계 바다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게재했다. 전세계 ... ...
[오늘과학] 건물에 칠하면 내부 온도 낮아지는 페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용량으로도 더 많은 면적에 페인트를 바를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데바시스 찬다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 나노과학기술센터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페인트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개발한 페인트는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 ...
뇌는 감염을 어떻게 인지할까..."체내 뉴런 통해 신호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전달되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결론이다. 스테판 리베를레스
미국
하버드의대 하워드휴스 연구소 교수는 감염된 부위의 조직에서 발생한 신호전달 물질이 체내 곳곳에 퍼져 있는 신경세포(뉴런)를 통해 뇌로 전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8일(현지시간) ... ...
수컷 쥐 세포로 난자 만들어 아기 쥐 탄생…난임 치료 새 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만드는 것은 생쥐 세포에서 만드는 것보다 어렵다"고 밝혔다. 아만더 클라크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는 "과학자들은 아직 여성 세포로부터 인간 난자도 만들어내지 못했기 때문에 이 연구를 인간 세포에 적용시키는 것은 '큰 도약'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선 연구에서 인간 ... ...
"담낭절제술 받으면 당뇨병 위험 20%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담낭절제술이 당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미국
외과학회지'에 게재했다고 9일 밝혔다. 흔히 '쓸개'로 불리는 담낭은 주머니 같은 구조로 '담즙(쓸개즙)'을 농축, 저장, 분비하는 기능을 한다. 담즙은 소화를 담당하는 액체로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의 소화를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