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다이빙대에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얹혀졌을 때 달라지는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레이저 광선을 나노 다이빙대에 쏘면 진동 주파수 변화에 따라 반사되는 레이저의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를 측정해 다이빙대 위에 어떤 물체가 얹혀졌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결부시키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고노 교수도 “포유류의 발생에 왜 암컷과 수컷의
존재
가 필수적인가라는 의문을 풀기 위해 실험을 시작했다” 며 “이것을 인간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고 잘라 말했다. 이번 연구는 각인 유전자가 포유류에서 단성생식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 ...
03. 정신질환, 예측하면 막을 수 있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않았지만, 유전과 환경의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뇌의 이상이 그 밑바탕에
존재
한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다. 정신분열병이나 양극성 장애, 즉 조울병과 같은 정신병은 그 질환을 앓고 있는 개인과 가족에게 큰 고통을 안겨준다. 그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므로 우선적으로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Al(CH3)3 등은 회합성(會合性)이 있으며 이합체(二合體)로서 그림과 같은 형태로
존재
한다 특수한 결정에 빛을 투사할 때 투사 방향에 따라 결정의 두 끝을 연결시킨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달라지는 현상 X선 · 중성자선 · 전자선의 조사(照射)에 의한 회절상으로 결정의 원자 배열을 결정하는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수 있는 얇은 막이지만 개미나 소금쟁이와 같은 작은 곤충에게는 단단한 벽과 같은
존재
다. 이들 곤충에게는 중력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표면장력이지만 인간에겐 별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은 이 표면장력을 일상생활 속으로 끌어들이려 하고 있다. 각종 제품을 ... ...
대머리치료 희망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식할 경우 털이 자라는 현상을 확인했다. 또 줄기세포에서만 발현되는 유전자의
존재
도 밝혀졌다. 콧사렐리스 교수는 “이 유전자에 관여하는 분자를 알아낸다면, 이를 갖고 사람의 모낭에서 줄기세포를 분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만일 연구팀의 목표대로 사람의 줄기세포가 얻어진다면 ... ...
수천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환경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를 분해하는 미생물 유전자를 찾고 있다.그러나 자연계에
존재
하는 미생물 가운데 1%만이 실험실에서 배양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으로는 자연계의 모든 미생물을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메타게놈(metagenome)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충돌에 대해 많은 지질학자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에서 대륙충돌대의
존재
를 밝히는데는 국제적인 규모에서 수많은 학자들이 10년 이상 가세했다. 아마도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비슷한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 한반도의 대륙충돌사와 진화사에 관해 좀더 정밀한 결과를 얻기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한반도에도 이런 공룡들이 서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곧 우리나라에도 쥐라기 공룡의
존재
가 알려지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필자는 생각한다.쥐라기에 격렬했던 화성활동이 일어난 후, 한반도는 잠시 화성활동의 휴식기에 접어들었다. 백악기로 넘어가면서 한반도의 공룡기록이 폭발적으로 늘어난다.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벌판 같은 곳이었다. 그 땅속 깊은 곳, 맨틀에는 당시 마그마의 근원지인 열점(hot spot)이
존재
하고 있었다. 이 마그마 중 일부가 2천8백40만년 경 백두산 일대의 갈라진 틈새를 통해 지표 밖으로 나왔다. 그리고 2천3백만년 전부터 1천9백만년 전까지 4백만년 동안 지각의 갈라진 틈새 사이로 상당한 양의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