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사
연구
탐색
탐구
탐사
감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조사
"(으)로 총 5,884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001년 첫 아침에는 휴대폰으로 고향에 있는 친척들과 화상전화를 할지 모른다. 빠르면 2001년 상용될 것으로 보이는 IMT-2000 덕분이다. 길을 걸으며 인터넷을 즐길 수 있고, 전세계 어디서나 단말기 하나면 통화가 가능한 IMT-2000에 대해 알아보자.버스 안에서 어떤 여자가 휴대폰으로 친구와 수다를 떤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관찰하고, 전파망원경은 보다 파장이 긴 영역을 연구한다. 별에서 오는 감마선이나 X선을
조사
하기 위해서는 우주선을 대기권 밖으로 쏘아 올려야 한다.자전과 공전이 만드는 현상들먼 우주에서는 여러 종류의 파장을 담은 빛이 지구를 향해 들어오고 있으며 이 속에는 별에 대한 많은 정보가 ... ...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999년 10월 12일 유엔 사무총장 코피 아난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 사라예보를 방문했다. 그리고 이날 0시 2분 태어난 한 아이를 만났다. 그 아이는 유엔이 정한 60억번째 인간이었다. 그러나 이를 지켜보는 지구촌 가족들에게는 축하의 마음보다 걱정이 앞섰다. 세계인구가 60억명이라니.현재 ... ...
목 비튼 채 통화하면 위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느꼈다고 한다. 심지어 가벼운 뇌졸중 증세까지 보였다.쥐베르 박사는 이 정신과 의사를
조사
한 결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경동맥 내부의 벽이 찢어져 있음을 발견했다. 가느다랗고 날카로운 뼈(경상돌기)가 경동맥에 직접 닿았기 때문이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귀 아래와 턱 뒤에, 두개골의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 성단은 남반구 하늘에서 가장 멋진 구상성단으로 알려져 있다. 밝기는 3.7등급, 시직경이 36분이나 되는 이 천체는 맨눈으로는 별처럼 보이기 때문에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별로 불리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 연세대학교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의 이영욱 박사팀(이영욱(38세)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손에 묻을 확률도 줄어든다는 것이다.동양인은 약8%, 서양인은 약 11%가 왼손잡이로
조사
되고 있다. 이것도 서양의 초상화가 우리나라의 초상화보다 왼쪽 측면상에 덜 편향된 이유를 어느 정도 설명해준다.동서양의 예술관 차이이주헌씨는 동서양의 수치 차이를 화풍이나 화법의 차이에서 기인한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가정 아래 어두운 별의 거리는 멀다고 생각하고 망원경으로 천구면의 항성분포 밀도를
조사
했다. 그 결과 별들이 원반모양으로 분포하는 것을 발견, 은하계에 대한 초기 개념을 만들어내기도 했다.작은개자리는 쌍둥이자리 아래에서 은하수를 끼고 큰개자리와 마주하는 작은 별자리로 1등성 ... ...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구의 환경과 에너지 문제는 20세기에 남겨진 가장 큰 숙제 중 하나인 만큼 사람들의 관심이 높다. 동시에 지구 밖의 행성 개발에 대한 기대도 크다. 과연 21 ... 보게 될 것이다. 그 밖에도 목성이나 토성처럼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행성의 성분을
조사
할 수 있는 샘플채취가 가능해진다 ... ...
60억 인구의 미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정신없이 숨가쁘게 달려온 20세기가 어느덧 막을 내리려 한다. 돌이켜 보면 20세기는 인간이 꿈꿔왔던 많은 상상들을 현실로 이뤄냈다. 하늘을 날고 바닷속을 여행하고. 원자 속의 쿼크가 부리는 조화와 세포핵 속의 DNA가 담고 있는 생명의 비밀도 인간의 호기심 앞에서 그 옷을 벗고 말았다. 그러나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금은 이름이 잊혔지만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이 있었다. 1985년에 설립됐다가 198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사과정으로 통합된 대학이다.원래 이 대학의 설립을 추진했던 곳은 노동부.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은 공고를 졸업한 산업계의 기능공들이 계속해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기술대학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