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신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빠져나가는 일이 발생한다.인공신장은 기능을 상실한 신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을 몸
밖
으로 연결해 걸러내고 깨끗한 혈액을 몸 안으로 되돌려보내는 장치다. 대표적인 방법은 고분자막을 이용하는 것이다.혈액정화에 주로 사용되는 고분자막을 중공사막(中空絲膜)이라고 부른다. 속이 비어있는 ... ...
정자들의 전쟁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것이 정상이다. 그러나 정자가 플로백으로 많이 빠져나가서 여자의 몸속에 조금
밖
에 남아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베이커와 벨리스는 프로백에 포함되는 정자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오르가슴을 적시했다.여자가 남자보다 훨씬 먼저 오르가슴에 도달하거나 또는 전혀 절정감을 느끼지 못한 ... ...
흔들리는 고속전철 8대쟁점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서울에서 부산까지 2시간이 걸린다. 그런데 노선설계와 노반설계의 잘못으로 2백km/시
밖
에 속도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만약 새마을호보다 조금 빠른 정도라면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여 굳이 고속철도를 건설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7 쟁점눈덩이처럼 불어나는 ... ...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거대한 습곡산맥이나 해구, 호상열도 등이 발달하고 화산과 지진이 활발하다블랙홀 안과
밖
의 경계를 말한다 빛이나 물질이 사건의 지평선에 다다르면 더 이상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래서 사건의 지평선 안쪽은 보이지 않는다물질은 소용돌이처럼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다 이때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 ...
Ⅱ. 아직까지 미스터리로 남은 전자의 본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굵고 짧게 산다고 했던가. 질량이 무거운 타우입자는 10조분의 1초(${10}^{-13}$) 정도
밖
에 살지 못한다. 그러므로 타우입자는 뮤입자와 마찬가지로 우주선(cosmic ray)에 의해서, 또는 가속기 실험실에서 잠깐 동안 만들어졌다가 흔적만 남기고 곧 사라져버린다.전자가족에는 다른 가족들하고 대화를 ... ...
3. 풍선을 처음 불 때 더 힘든 이유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그래서 이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풍선 내의 압력을 쟀다.그러나 실험 결과는 예상
밖
이었다.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풍선의 부피가 커지면 커질수록 풍선 내의 기압은 점점 낮아졌다. 실험2큰 풍선과 작은 풍선 연결실험1의 결과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부피가 다른 두 풍선 내의 기압을 비교하기로 ... ...
인류 최고의 기호품' 인가 '마약'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예쁘게 보이도록 해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와 함께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막고,
밖
으로 향기가 발산되는 것을 막는다. 또 담배가 원래 맛을 내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요인인 수분 함유량을 유지시키는 것도 이들의 역할이다. 담배의 수분은 12-13% 유지돼야 제 맛을 낼 수 있다.그러나 종이 이외에 ... ...
인류의 꿈펼친 행성천문학자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세이건은 또한 1990년 12월 갈릴레오 탐사선이 지구 대기권
밖
을 비행할 때 우리 지구에 물과 유기분자가 풍부하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는지 시험했다. 결과는 얼마든지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냐하면 지구 대기 중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산소에 의한 근적외선 ... ...
어느 겨울 밤의 실험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위대한 과학적 발견 뒤에는 수많은 과학자들의 힘겨운 노력이 숨어있다. 과학에 대한 접근방법 중 하나는 바로 과학자들이 연구와 일상생활에서 겪는 갈등과 고민 ... "내가 진담한 줄 아네? 농담이었어. '사이언스'읽을 시간이 어딨어? 실험하기도 바쁜데. 라면이 두개
밖
에 없더라구.""뭐? ... ...
사이버 봉이 김선달 대권주자 이름 싹슬이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혈안이 돼있다는 점이다. 원래'.com'은 미국의 기업들에게만 부여하는 도메인명이었다. 그
밖
의 나라에서는 'co.kr'처럼 두자리의 국가명을 붙이는 것이 원칙, 그러나 전세계의 인터넷 이름을 관리하는 인터닉이 95년 말부터 미국 이외의 기업들에도 '.com'의 도메인명을 부여함에 따라 기업들은 국가명이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