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읽겠다고 들고 다녔다. 무료해지면 천재적이고 냉철한 독재자가 돼 내 눈에 보이는 모든 부조리를 척결하고 세상을 내마음대로 바꾸는 공상을 하기도 했다. 반대로 주류에 핍박받는 비주류로 살아가는 모습에 매력을 느껴 특이한 사상에 빠지기도 했다. 그래서 환단고기 같은 유사역사학 서적을 ... ...
- 과학동아가 선정한 이달의 책 - 쉡게 줄 수 있으면 난제가 아니지!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달리다가 갑자기 멀리뛰기를 하면서 난제의 정의로 곧바로 순간이동을 한 느낌이다.물론 모든 부분이 이런 건 아니다. 케플러의 추측은 전후로 배경 설명이 길지만, ‘귤상자에 귤을 가장 많이 담는 배열에 관한 것’이라는 설명이 분명하게 제시돼 있다. 하지만 대체로 대부분의 장에서 질문 자체를 ... ...
- 야구 기록, 그림만 보면 다 안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기준으로 나타낸다고 여기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통계에서 이용하는 모든 그래프는 ‘원의 넓이’를 기준으로 데이터 값을 나타낸다.예를 들어 한 선수는 5개의 홈런을 쳤고, 다른 선수는 10개의 홈런을 쳤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이것을 하나는 원의 넓이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는 ...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굴착기 도움을 안 받은 곳이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실제로 기자가 취재하며 다닌 모든 공사 현장에 굴착기가 있었다. 흔히 ‘포클레인’이라고 불리는 장비다. 굴착기를 처음 만든 프랑스 회사 이름이 일반 명사로 굳어졌다. 우리나라에 있는 건설기계 39만 733대 가운데 굴착기는 12만 3103대로, ... ...
-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대장냥이의 앞발 휘두르기 한 방에 옆동네로 도망갔어요. 한 달도 안돼서는 뒷골목 모든 고양이를 제압했지요. 그 뒤로 뒷골목 암고양이는 모두 대장냥이의 노예♥가 되었어요.대장냥이가 지배하는 이 동네에 얼마나 많은 고양이가 살고 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대부분 사람들의 눈에 잘 띄지 ... ...
- 너를 위한 이야기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답을 알았다. 책을 보거나 강의를 들을 필요도 없었다. 마치 내 기억 어딘가에 세상의 모든 지식이 담겨 있어, 조금 관심을 기울이면 바로 떠오르는 것 같았다. ‘우리는 왜 사는가?’ ‘죽으면 어디로 가는가?’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같은 철학적인 명상에도 별처럼 답이 쏟아져 내렸다.이곳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철학적인 깨달음을 수학적인 기법으로 표현한 걸작이라고 할 수 있다.에스허르에 대한 모든 것을 한자리에서 만난다!위대한 작가의 집을 다른 용도로 쓰고 있다니, 조금 섭섭한걸? 에스허르가 만든 수학 예술작품을 조금 더 감상하고 싶은데, 이게 다냐?흠~, 어디 보자. 팅커벨의 편지에는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쪼이며 아무 일 없이 살아가고 있다.올림픽 유치 위해 SF소설 쓰는 일본그러나 모든 문제가 괴담은 아니다. 2020년 올림픽 유치 같은 정치 이슈들을 위해 일본이 정보를 조작 및 은폐하고 있다는 지적이 바로 그것이다. 서균렬 교수는 “일본은 제대로 된 정보를 공개하고 있지 않다”며, “바다로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일교차가 커졌다. 밀림은커녕 숲도 드물어졌고, 나무타기의 명수 영장류는 북반구의 모든 대륙에서 완전히 사라졌다.기구한 화석 ‘아이다’와 ‘잃어버린 고리’화석이지만 유명한 과학자의 이름을 딴 학명과 별명까지 갖고 있는 영장류가 있다. ‘아이다’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다위니우스 ... ...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우리은하는 별 탄생이 활발한 편에 속한다. 하지만 아주 먼 미래에는 어떤 모습이 될까. 모든 별이 소멸하고 별이 더 태어나지 않는다면 우주는 아무 활력도 없는 어두운 공간이 될지도 모른다. 가장 끝까지 살아남을 별은 질량이 아주 작은 별이다. 질량이 태양의 10% 아래인 별은 수명이 몇 조 년에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