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이끌어 오신 분들이다. 나는 두 분을 만나면서 수학이 건축뿐 아니라 생활 속 여러 곳에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특히 두 교수님은 박물관과 고궁을 둘러보면서, 우리나라 전통 공예나 건축물 속 패턴 역시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사르한기 교수님은 그 패턴을 연구해 볼 ... ...
- 전기료 폭탄 피하는 에너지 절약 비법 3 + α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높아 바닥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좌식 생활을 하는 우리나라 특성상 실제 생활하는 곳의 온도는 28℃보다 낮은 26~27℃다. 설정온도를 2℃만 올려도 전력 소모를 30% 이상 줄일 수 있다.제습과 송풍 모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도 절전에 도움이 된다. 일반 냉방과 비교해 제습 모드는 냉방 모드보다 전력 ... ...
-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끼친다고 지적한다.가장 손꼽히는 원인은 수면 부족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어느 곳에서도 학생들은 아침 일찍 일어나야 한다. 저녁형 학생들은 잠자리에 늦게 들기 때문에 충분히 잠을 자기가 어렵고, 낮 동안 피로감 때문에 제대로 수업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주중에 못 잔 잠은 그대로 ... ...
- 중력으로 욕심을 비워내는 잔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중력에 의해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래요. 사이펀이 정말 많은 곳에 쓰이고 있네요.그래요.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기구를 좀 더 찾아보고 과동이만의 아이디어로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 보세요.참, 또 한 가지, 계영배의 유래를 찾아보고, 느낀 ... ...
- 새 학기 스타는 바로 나 굿 잠으로 훈남훈녀 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상징이었던 안나만 빼고. 잠이란 도대체 뭐길래아~, 졸려. 선생님의 말씀이 먼 곳에서 희미하게 들려. 엎드려서 자고만 싶어. 밤에는 자기 싫어서 고민, 수업시간에는 자고 싶어서 고생. 도대체 잠이 뭐길래 이렇게 우리를 괴롭히는 걸까.잠깐! 잠국어사전은 잠을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 ...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잘 달릴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계산을 통해 바퀴가 최대한 많이 흔들리지 않는 곳을 찾아 바퀴의 중심축을 끼우는 것이다. 그러면 울퉁불퉁한 도로는 물론, 평평한 도로에서도 잘 달린다.한편 실험 ❶을 응용하면 다양한 모양의 자동차 바퀴를 만들 수도 있다. 정사각형을 그린 뒤, 각 ... ...
- 수학으로 가상과 현실을 자유롭게 넘나든다!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돕는 3D 몽타주 개발!동궐도에 이어 연구실 한쪽엔 다양한 종류의 몽타주가 보였다. 이곳에서는 과학 수사에 쓰이는 3D 몽타주 기술을 연구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범인 몽타주는 연필 선으로 그려진 2차원 그림이었다. 3차원 몽타주는 어떤 장점이 있을까?"현재 경찰들이 사용하고 있는 2차원 몽타주는 ...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온도를 알 수 있다.“에트나 산에는 이런 카메라가 8곳에 있으며, 스트롬볼리 산에는 5곳에 있어요. 분화구에서 수백 m 이내에 있는 카메라는 몇 년에 한 번씩은 파괴되지요.”사진을 찍고 숨을 고른 뒤에 자동차를 타고 정상 가까이 올라갔다. 지난 폭발 때 화산재에 뒤덮여 파괴된 건물이 아직도 ...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탐사 지점 간에는 약 100 km의 간격(조사 미구간)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열수구와 그곳에 서식하는 새로운 종들 그리고 이미 밝혀진 열수생물의 자매 집단들이 미래에도 계속 발견될 것이다. 잃어버린 퍼즐조각들이 하나하나 찾아지듯이.우리나라는 2011년 태평양과 남극 사이에 위치하는, 지구 ... ...
- 3차 흡연, 내 아이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등에 묻은 유해물질 등을 모두 다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흡연 물질의 흡착은 워낙 여러 곳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무리 집안을 환기시켜도 흡착이 일어나고 나중에 다시 배출된다. 3차 간접흡연을 막는 것은 흡연자의 완전 금연만이 최선의, 그리고 유일한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