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4,56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세계의 첨단로봇 총집합
과학동아
l
199004
정밀작업을 위해 모두 고성능 모터를 달았으며 0.5mm 이내의 정밀도를 갖게 했다. 또 1
초
당 1m 이상 움직일 수 있다. 최근에는 칼라부분이나 어깨와 팔의 접합부분등을 꿰맬 수 있는 천장고정식 대형봉제로봇도 개발됐다. 이 로봇의 7개의 관절은 컴퓨터 통신망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 ... ...
창조를 위한 모방
과학동아
l
199004
중간단계로 활용할 수 있다. 처음부터 완벽한 설계도가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초
창기의 아이디어가 3차원 1단계모형으로 인간의 눈에 보일 때 비로서 더욱 발전된 아이디어가 가능하다.앞으로 모형제작은 대규모 레저시설과 연결되면서 산업화될 가능성이 많다. 이처럼 모형제작이 산업화되고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04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만 인식되고 있는 잡
초
도 활용하기에 따라서 약재 또는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유전공학과 환경분야에서도 잡
초
... 주는 부정적인 영향만을 강조하다 보면 긍정적인 측면은 자칫 망각하기 쉬운데 이 기회에 잡
초
의 긍정적인 역할을 인식했으면 좋겠다 ... ...
PART 5 마이크로마우스와 미로게임
과학동아
l
199004
전력의 소모도 DC모터에 비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속의 마우스를 만들려면 (적어도 1
초
당 1.5m 이상의 속도) DC모터를 부착해야 한다. 실제로 일본이나 미국의 세계 정상급 마우스에 DC모터가 내장돼 있다.아직 국내에서 DC모터를 장착한 채로 완주한 마우스가 없다. DC모터의 제어는 전자공학이나 ... ...
중3병 고3병 대4병
과학동아
l
199004
어느 정도 오래 그 회사에 몸을 담을 것인가를 물어 왔다.이미 졸업한 선배들이 사회
초
년병으로서 일하는 보람보다는 불만을 토로했던 소주파티 때의 대화들이 떠 올랐다. 최군은 회사의 경영방침과 부딪칠 때는 시정을 촉구해보고 그게 잘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보다 합리적인 회사로 언제든 ... ...
「한국의 스티브 좁스」 꿈꾸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004
바꿔버렀다는데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88년말 서울대전기공학과 2학년이던 윤재수군이 최
초
의 BBS(전자게시판)용 한글통신프로그램인 '한토크'(Han Talk)를 개발한 것은 비록 위즈니액과 같은 역사적 인물들의 업적에 견줄 바는 못되지만 당시 20여개의 BBS통신이용자들이 이전에 한글전용소프트웨어가 ... ...
-4℃에서 물을 얼게 한다
과학동아
l
199004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전망했다.이 미생물에 대한 최
초
의 연구는 70년대
초
미국에서 수행되었다. 온도가 떨어지기가 무섭게 발생하는 서리피해를 줄여보기 위해서였다. 지금도 연간 48억달러를 서리 때문에 날려보내는 미국이 그 원인균을 찾아나선 것은 극히 당연한 일이었다.이에 비해 ... ...
PARTⅡ 방송그래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004
큐시트의 작성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예를 들어 10
초
간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경우,
초
당 30프레임(frame)씩 모두 3백프레임의 동작이 연결되는 셈인데, 임의의 각 지점의 위치 색 빛의 값 등이 정확하게 주어지지 않으면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게 된다.모델링은 원하는 기본 물체의 형태를 ... ...
PARTⅠ 과학과 예술의 멋진 랑데부
과학동아
l
199004
현재, 이것은 텔레비전 문화에도 큰 변화를 몰고 올 거인으로 등장한 것이다.지난 84년
초
백남준씨가 보여준 '비디오아트쇼'의 충격이 지금은 이미 별것이 아닌 것처럼, 이 장르의 변화가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이 그리고 빨리 이루어질지가 주목되고 있는 시점이다 ... ...
W, Z입자의 실체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004
정확하게 함으로써, GSW이론을 확장해야 한다는 힌트를 얻고 싶은 것이다.사실상 90년대
초
의 입자물리학계는 GSW이론 이후 약간 정체돼 있다고 말할수 있다. 그 핵심적 이유는 실험적인 발견과 새로운 현상이 없기 때문이다. 이론적인 면에서는 획기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실험으로 확인되고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