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과학동아 l199912
- 난자를 수정시킨 다음 이를 배양해 수십명의 클론이 가능하도록 한 사람은 미국 워싱턴대학병원의 로버트 스틸만과 제리 할이었다. 그들은 1993년 수정란 속에서 분화되고 있는 분할소구라는 세포를 꺼내 이를 나눈 다음 각각의 독립된 수정란으로 키우는데 성공했다. 이를 수많은 대리모의 자궁을 ... ...
- 외계행성 직접 증거 포착과학동아 l199912
- 태양계 밖에도 존재한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캠퍼스의 제프리 마르시 교수팀은 지구에서 1백53광년 떨어진 별 HD209458에서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이 있음을 행성의 그림자를 통해 확인했다. 이 별은 1995년 외계행성의 존재가 처음으로 확인해준 ...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과학동아 l199912
- 별처럼 보이기 때문에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별로 불리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 연세대학교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의 이영욱 박사팀(이영욱(38세), 손영종(36세), 이수창(32세), 주종명(30세), 이현철(31세))은 오메가 성단이 1백억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한 작은 은하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결과를 세계적 ...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과학동아 l199912
- 컴퓨터를 이용해 말하는 법을 가르치려는 노력들이 있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언어학자인 놈 촘스키는 “말이란 사람에게만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테라스라는 학자는 촘스키의 주장이 일부 틀렸다며 ‘님 침스키’란 침팬지가 사인(신호)으로 의사를 표현했다고 ...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과학동아 l199912
- 죽어그렇다면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성균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유전공학 연구실의 권무식 교수와 연구원들이 미국을 따라잡겠다고 나섰다. 권무식 교수는, 오랜 기간 동안 미국에서의 연구생활을 통해, 미국에서 하는 것과 똑같은 것을 해서는 그들을 이길 수 없다고 ...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과학동아 l199912
- 1천배나 빠른 인터넷2와 차세대인터넷(NGI) 개발이 한창이다. 인터넷2는 정보통신업체와 대학이 추진하는 계획이고, 차세대인터넷은 클린턴 정부가 1996년부터 추진하는 계획이다 ...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과학동아 l199912
- 전극을 마주보게 넣고 필라멘트를 가열해 만든 것이다. 1946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존 모클리와 프레스퍼 에커트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인 에니악이 바로 이 진공관을 이용한 컴퓨터다. 당시 1만8천개의 진공관을 지니고 있었던 에니악은 무게가 30t, 면적이 1백35m².필라멘트와 ...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과학동아 l199911
- 지난 8월 터키의 강진을 시작으로 아시아의 대만, 아메리카의 멕시코에서 엄청난 진도 7.0이상의 강진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세계가 숨돌릴 틈도 없이 이곳 저곳에서 터지는 지진 소식은 우리에게 닥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변한다. 몇 년 전 일본의 고베 지진의 아비규환과 미국의 로스앤젤 ...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과학동아 l199911
- 뉘슬라인-폴하르트(1942-)이다. 그녀는 미국 캘텍(CalTech)의 에드워드 루이스(1918-), 프린스턴대학의 에릭 비샤우스(1947-)와 공동으로 199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뉘슬라인-폴하르트는 남들이 관심을 갖지 않는 발생학을 연구했다. 그녀는 초파리를 이용해 신체의 각 부분이 어떤 유전자에 의해 ... ...
-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과학동아 l199911
- 매우 밝을 것인데, 아직도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애리조나 대학의 아담 버로우 박사는 덧붙였다.만일 이 행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결론은 간단하다. 그러나 이는 극히 어두워 가시광선 영역으로는 볼 수 없거나, 혹은 은하수 부근 밝은 배경 속에 놓여있어 발견되지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