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뉴스
"
사용
"(으)로 총 15,951건 검색되었습니다.
악성 뇌종양 항암 면역반응 높이는 대식세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대식세포의 마커로 CD169 유전자를 발굴했다. 이어 마우스 교모세포종 모델을
사용
해 CD169 단백질을 발현하는 대식세포가 없으면 항암 면역반응이 감소하고 실험용 쥐의 생존 기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연구팀은 CD169를 발현하는 대식세포가 세포독성 T 세포의 종양 내 유입에 ... ...
수염고래, 매일 미세플라스틱 43kg 먹어..."사람도 섭취한다는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102.3t이 미세플라스틱인 셈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플라스틱
사용
량이 늘면서 해양 속 미세 플라스틱의 양은 더욱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해양생물에 축적되는 미세 플라스틱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뉴질랜드 환경부가 지난달 1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 ...
아이폰, 해안선 침식 연구에 '최적'...라이다 스캐너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실리기도 했다. 이와 함께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연구팀은 스마트폰의
사용
자가 있는 장소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지진 발생을 예측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한 연구 결과를 지난 2016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어드밴시스’에 발표하며 ... ...
현장서 비대면으로 40분 만에 코로나 진단까지 끝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계획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전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돼 현장에서 비숙련자도 쉽게
사용
이 가능하다”며 “기술 상용화를 위한 기업과의 협력을 타진 중”이라고 말했다. 참여 연구진. 이동규 책임연구원(왼쪽에서 네 번째), 서준호 연구실장(오른쪽에서 세 번째). 기계연 제공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귀금속 대체하는 탄소 기반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인 교수는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 흡착제 소재를 개발하고 재
사용
이 가능하도록 흡착제 교환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 교수는 "화재사고 시 충분한 탈출 시간을 확보하려면 호흡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효과적으로 ... ...
'센 놈'들이 온다...대형 우주발사체 속속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강력한 추진력을 지닌 로켓으로 평가받는다. 부스터 재활용 능력도 갖췄다. 다시 회수해
사용
한다. 이번 팰컨 헤비 발사는 2019년 6월 이후 3년여 만이다. 스페이스X가 이 로켓을 상업 용도로 발사한 것은 이번이 세번째다. 주 고객은 NASA와 미 국방부다. 3년여 만에 발사한 것도 우주군의 요청이 ... ...
단백질 구조 예측 AI 구글·페이스북 경쟁...'알파폴드' 대항마 'ESM폴드'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대형 언어 모델이란 일부 글자만 적어도 전체 단어를 예측하는 자동완성 기능에
사용
되는 AI다. 단백질은 20여 개의 아미노산이라는 단위체로 이뤄져 있고 각각의 아미노산은 알파벳 약자를 가지고 있다. 글리신은 'G', 세린은 'S'로 표기하는 식이다. 연구팀은 단백질의 구조를 20개의 아미노산 ... ...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냉·해동 과정에서 얼음알갱이에 의해 생체시료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동결보존제에
사용
된다. 주로 극지방 생물의 체액에 있는 결빙방지 단백질의 기능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개발된다. 결빙방지 단백질은 영하의 기온에도 얼음알갱이가 만들어지는 것을 막아 생물이 영하의 환경에서 생존할 수 ... ...
버려지는 나무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생성된다. 몰리브덴 기반이라 촉매 가격도 저렴하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촉매를
사용
해 공정 중 폭발 위험도 적다. 연구팀은 “폐목재 분해 시간도 기존 12시간에서 30분으로 대폭 줄였다”며 “물질과 열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체유체기술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폐목재로 ... ...
"장기모사칩 한계 극복"...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고승환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제작방식은 준비된 틀에 실리콘 기반 투명 탄성체(PDMS)를 부어 붇게 하는 몰딩 방식을
사용
했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됐다. 고 교수팀은 틀 없이 즉석으로 가공형상을 바꿀 수 있는 '레이저 직접 가공법'을 개선해 높은 포면가공과 정밀도를 갖는 3차원 미세패터닝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