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방법으로 원소를 종류별로 차곡차곡 쌓아올린다. 층당 두께가 나노미터(nm, 1nm=10-9m) 단위밖에 되지 않아 굉장히 얇다.원소들을 층층이 쌓은 결정을 약 1000℃에서 가열하면 질화갈륨(GaN)이 생성되면서 메탄가스는 밖으로 날아간다(MOCVD 공정). 여기에 배터리를 연결해 전기를 통해주면 된다. 실리콘만 ... ...
-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영국의 한 조사에서 부모가 모두 오른손잡이일 경우에도 자녀가 왼손잡이일 확률이 9.5%로 나타났다. 부모중 한쪽만 왼손잡이일 경우는 19.5%, 부모가 둘다 왼손잡이일 때는 26.1%로 높아졌다. 이 확률을 보면 왼손잡이와 유전은 관련이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인간에게 오른손잡이를 결정하는 ... ...
- 성냥개비로 도형 만들기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있는 모양이 어떤 것이 있을지 잘 생각해보세요). 정답을 아시는 분은 ljr@donga.com으로 9월 15일까지 이번 호 ‘도전! 1% 클래스’에 대한 독자평과 함께 정답,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적어 보내주세요. 정답을 맞힌 독자 중 6분을 선정해 ‘멘사 퍼즐(보누스 펴냄)’ 시리즈 3권을 드립니다. 지난 호 ...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적외선, 전파 등으로 불린다. 그중에서 사람이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380~770nm(1nm=10-9m) 파장 사이의 전자기파를 가시광선이라 부르며 흔히 ‘빛’이라고 한다. 그리 넓지 않은 이 영역에서 파장이 조금씩 달라 우리 눈은 다른 색을 본다. 가시광선 중 빨간색의 바깥, 즉 빨간색 빛보다 파장이 긴 ... ...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수학동아 l2010년 08호
- 흙을 파내는 방법이야. 그 결과 현재 피사의 사탑은 기울기를 멈추고, 수직에서 3.9m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첨성대가 기운다!배재대학교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첨성대가 북쪽으로 7.2cm, 동쪽으로 2.4cm 기울어졌다고 밝혔다. 다보탑이나 석가탑도 조금씩 기울어 있다. 에펠탑의 수명은 20년 ... ...
- 집합의 구조를 담은 삼차각설계도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알 수 있지. 이처럼 숫자 1, 4, 7을 3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1이 되고, 2, 5, 8은 2가 되고, 3, 6, 9는 0이 되는 특성을 볼 때 이들 각각을 하나로 묶으면 모든 수를 1, 2, 3으로 표현할 수 있는 거지. 즉 ‘선에관한각서 1’에서 1에서 0까지의 수로 우주를 표현했다면 ‘선에관한각서 3’에서는 소우주를 표현한 ...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수학동아 l2010년 08호
- 건축물을 만날 수 있어. 바로 국보 제18호인 부석사의 무량수전이지.무량수전은 가로 61.9자(고려시대의 1자=32.21cm), 세로 38.2자의 직사각형 건물이야. 가로와 세로의 비가 1.62:1로 가장 아름답다고 알려진 황금비율을 하고 있지. 무량수전의 불상은 다른 절처럼 건물 가로면의 가운데에 있지 않고 ... ...
- 번호로 찾는 지도수학동아 l2010년 08호
- 2008년 베이징 아시안게임에서 우리나라 야구팀이 우승하던 순간을 기억해 보자. 9회 말 원아웃에서 쿠바 타자가 친 공을 유격수가 잡아서 2루수에게 던지고, 2루수는 다시 1루수에게 공을 던져 경기를 마쳤다. 이때 해설가는 643의 병살타로 승리를 거뒀다고 설명한다. 643이란 바로 유격수-2루수- ... ...
- 드라큘라성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이 퍼즐만 풀면 이 방에서 나갈 수 있을 거야. 자, 집중해서 퍼즐을 보자. 1부터 9까지 숫자 중 연산을 만족하는 수를 넣으면…. 같은 색깔에는 같은 숫자가 들어가겠지? 나도형! 할 수 있어!”당황해 제대로 퍼즐을 풀지 못하는 도형. 시행착오 끝에 가까스로 문제를 풀어 낸다. 문을 열고 ... ...
- 한국판 ‘아이언맨 로봇’ 120kg 들고 9시간 활동과학동아 l2010년 08호
- Exoskeleton Robot)’를 개발했다.국내에서 군사용 입는 로봇을 만든 것은 이곳이 처음이며 9월 공식 공개 예정이다. 지금까지 군사용 입는 로봇을 개발한 국가는 미국뿐이다.사람이 몸에 걸치면 평소보다 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이런 로봇을 ‘입는 로봇(wearable robot)’ 또는 ‘외골격로봇(robot exoskeleton .. ...
이전4004014024034044054064074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