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리듬동조화’ 현상이라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치료학자들은 음악을 특별히 조직해 뇌 손상 환자들의 운동신경회로를 재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더 읽을거리정현주, ‘인간행동과 음악’올리버 색스 ‘뮤지코필리아’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정서 보듬는 ... ...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찾기 힘든 거지. 전문가들은 추천 서비스의 이런 특징이 다양성을 해칠 거라고 우려해.최근에는 관련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서 다행이야. 이교구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가 여러 논문을 냈어. 특정 장르의 ‘덕후’가 높이 평가한 노래에 가중치를 줘서 그 장르에 문외한인 사람에게도 ... ...
- 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좋아! 이제 나도 저 아래 바닷속 광물을 캐기만 하면 부자가 될 수 있어!아, 그런데 해저 열수분출공 주변 온도가 300℃가 넘는다는데….직접 내려가기엔 너 ... 해저 광산을 찾아라!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
- [Origin] 동물들의 외모지상주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하니, 암컷이 푸드득거리는 소리를 좋아해서 이렇게 진화했다고 합니다.꽤 그럴듯 해 보이는 가설이지만, 여기엔 치명적인 단점이 하나 있습니다. 화려한 꼬리와 날개로 만드는 아름다운 소리, 모두 암컷에게 매력적인 특징인 만큼 포식자에게도 매력적이라는 사실입니다.그래서 등장한 또 다른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입증하고자 애쓰는 와중에 프라이스는 예상치 못한 큰 성과를 얻었다. 브라질에 있는 해밀턴에게 바로 편지를 보냈다. “당신 논문의 결과를 더 분명하게(비록 덜 엄밀하긴 하지만) 도출하는 법을 찾았습니다.” 이 말은 지나친 겸손이었다. 프라이스는 그저 혈연 선택 이론을 말끔히 수리한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자극하도록 제작된 치즈케이크 같다는 것. 그런데, 정말 그럴까. 2파트에서 확인해보자. +더 읽을거리이석원, ‘음악하는 뇌’후루야 신이치, ‘피아니스트의 뇌’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이색 악기 패밀리(2016.10)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10N050▼관련기사를 계속 .. ...
- [교과연계수업] 겨울철 초미세먼지, 비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머무르는데, 최근 그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는 만큼 겨울 스모그도 더 자주 발생한다고 해요. 1. 대상 : 초등 3학년 이상, 초중등 영재학급 학생들, 겨울철 미세먼지를 알고 싶은 누구나!2. 제목 :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위험하다!3. 수업 목표① 황사가 찾아오는 봄철보다 겨울철 ... ...
- Part 2. 초미세먼지는 국경이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바람의 세기나 방향 등을 토대로 그 성분이 어디에서 배출됐는지 지역이나 국가를 유추해 낼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쿨럭쿨럭~, 깨끗한 공기를 찾아라!Part 1.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위험하다!Part 2. 초미세먼지는 국경이 없다?!Part 3. 실내 공기는 깨끗할까?Part 4. 보이지 않는 ... ...
- Part 5. 깨끗한 공기를 지키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흠…, 지금은 공기 팔 생각을 할 때가 아닌 것 같군. 깨끗한 공기를 살리기 위해 내가 도울 일이 없는지 어서 가 봐야겠소. 어과동 친구들도 공기오염에 더 많은 관심가져 주길 바라오. 그럼 안녕~.▼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쿨럭쿨럭~, 깨끗한 공기를 찾아라!Part 1.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생산할 수 있을 만큼의 빛 에너지를 모으기 어렵다는 거예요. 그래서 들인 재료의 양에 비해 나오는 물질의 양이 너무 적은 문제가 생겨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와 물을 각각 100씩 넣었는데, 나오는 물질의 양은 1도 안 되는 거예요.또 촉매로 백금 같은 귀한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결과물을 ... ...
이전4004014024034044054064074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