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빙하기 한반도는 너구리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반면 한국과 러시아, 한국과 중국 너구리는 각각 0.4%, 0.6%로 차이가 적었어요. 이건 한국을 포함한 대륙 쪽 너구리와 일본 너구리 사이의 교류가 매우 힘들었다는 사실을 의미해요.그게 어떻게 한반도가 피난처였다는 이야기가 되지?빙하기 때 한반도 주변의 환경은 닥터 그랜마가 살고 있는 2만 년 ...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샤샤샥, 번개를 피하려면?보통 사람이 번개에 맞으면 약 80%가 목숨을 잃는대. 그래서 한국전기연구원에서는 ‘낙뢰안전 가이드북’을 발행했어. 가이드북에 따르면 번개를 본 뒤 천둥소리가 들릴 때까지의 시간을 재고 이 시간이 30초보다 짧다면 피난장소로 이동해야 해. 또한 마지막 천둥소리가 ... ...
- 이열치열 불타는 취재, 가장 더운 곳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더운 곳은 어디일까요? 기상청은 지난해 5월 9일 발간한 ‘한국기후도’에서 한반도에서 가장 더운 곳으로 제주도 남쪽에 있는 서귀포를 꼽았어요.*열섬현상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건물이 빽빽하게 들어선 도심지가 다른 지역보다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현상. 주변보다 ... ...
- 아빠, 절대 반칙운전하지 마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한국도로공사는 이번 휴가철에 경부, 영동고속도로에 고화질 카메라를 실은 무인 비행선을 원격 조종으로 띄워 교통법규 위반 차량을 밝혀내고 경찰에 고발할 계획이에요.무인 비행선은 길이 12m, 무게 50㎏ 크기로 고속도로 위 30~50m 높이에 떠 있을 예정이지요. 360° 회전하는 3630만 화소 카메라를 ... ...
- [가상 인터뷰] 번개 앞에 정말 위험한 물건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번개 칠 때 아예 밖에 나가면 안 되겠네!지구 정복을 꿈꾼다더니 뭐 이리 겁이 많누. 한국전기연구원이 만든 ‘낙뢰 안전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대기가 불안정하고 낙뢰가 잘 발생할 수 있는 날에는 외출을 하지 않는 것이 좋아. 꼭 나가야 한다면 피뢰침 역할을 하기 쉬운 큰 나무 옆은 절대 피해야 ...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보험금을 요청하는 경우도 있었답니다.괴담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➊선풍기 괴담은 한국 특산품?선풍기 괴담의 영어 명은 ‘Fan death’. 이 단어를 인터넷에 검색하면 자주 나오는 말이 있다. ‘South Korea’, 즉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괴담이라는 이야기다. 실제로는 중국, 일본에도 비슷한 ...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디자이너를 꿈꾸는 친구가 있다면 많이 뛰어놀고 새로운 것을 경험해 보세요. 그것이 한국 최고의 디자이너가 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거예요.손을 자유롭게 컵홀더 우산www.ekdesign.co.kr비가 오면 날씨가 쌀쌀해져서 따뜻한 음료를 마시고 싶어져. 하지만 가방도 들어야 하고 우산도 들어야 하니…. ... ...
- 명예탐정, 사라진 ‘꿀벌’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있을까 해서 그들 사이에 숨어들었다. 잠깐! 꿀벌탐사대는?‘어린이과학동아’ 독자와 한국발명진흥회 발명기자단이 손잡고 생태 연구에 뛰어 들었다. 앞으로 국립농업과학원과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의 지도를 받으며 밀원식물 분포 조사 등 생태복원 연구에 앞장 설 예정이다.탐정수첩 3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피 빨면 몸이 빵빵 작은소참진드기 이름: 작은소참진드기(절지동물 거미류)사는 곳: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우리나라에서는 특정 지역 구분 없이 땅이나 풀숲 어디에서나 분포함.겉모습: 갈색을 띠며 어른벌레의 평소 몸 크기는 2~3㎜이지만 암컷은 피를 빤 후에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3700억 원) 전세계 부자들이 숨겨 놓은 재산(최소 2경 868조 원)보다 훨씬 작거든요.김진화(한국비트코인거래소)3. 그런데 비트코인은 누가 만든 건가요? 만든 사람이 나쁜 마음을 먹으면 순식간에 시스템을 파괴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하이퍼 텍스트라는 인터넷 개념을 생각해 낸 저는 비트코인이 ... ...
이전4004014024034044054064074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