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길이가 동시에 줄어든다. 즉 푸아송 비가 음수가 되는 것이다. 실험은 성공적이었다. 처음에 만든 스폰지형 투명망토보다 더 많이 변형시켜도 굴절률이 적절하게 변하면서 투명망토의 은폐 기능을 유지했다. 김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 올해 2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최근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과학서적에서는 매년 판매량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다. 1983년 처음 나온 이래 500만 부 넘게 팔렸고, 미국에서는 TV 시리즈로 만들어지기까지 했다(최근 ‘코스모스2’가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방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양장본과 칼 세이건 10주기 특별판, 두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부분이 아직 연구 되지 않은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우주 탄생 이전은 어떨까. 기자가 처음 우주의 크기에 대해 배웠을 때 논리적으로 도저히 이해되지 않았던 부분이 우주 탄생 이전이었다. 아무 것도 없는 ‘무無’의 한 점에서 거대한 폭발이 일어나 지금의 광활한 우주가 되었다는 말이 머리에 ... ...
- 원숭이도 덧셈을 한다고?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숫자는 문자로 바꿔 나왔어요. 10은 A, 11은 B…, 이런 식으로요.어떻게 큰 수를 구별했나요?처음에는 숫자의 대소관계를 구별할 수 없었어요. 그런데 실험을 하다 보니, 바나나와 사과 주스를 받을 때도 있는 반면 물방울을 맞기도 하더라고요. 이를 통해 큰 수를 택하면 상을 받고, 틀리면 물을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셈이다. 그러자 새끼 쥐의 뇌로 조작된 쥐들은 목적지까지 헤엄치는 길을 잊고, 다시 처음부터 헤매는 경향을 보였다. 새로 만들어진 뉴런이 기존의 기억을 파괴했기 때문이다.이번에는 반대 과정을 실험했다. 새끼 쥐가 특정한 상자에 들어갈 때마다 전기자극을 줬더니, 쥐들은 점차 이를 기억하고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빠져 나간다.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 우리 안을 들여다 봤다. 비행기를 12시간 타고 날아와 처음 만난 ‘독일 쥐’였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흰 실험용 생쥐를 떠올렸는데, 까만 쥐가 더 많았다. 우리 안에는 바닥에 깔린 톱밥 말고도 하얀 솜 뭉치와 빨간색 플라스틱 반구가 있었다. 쥐는 솜 뭉치를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주로 큰 다리처럼 한 쪽 방향만 큰 힘을 받을 때 쓰는 방법으로, 고층 건물에 적용한 건 처음이다. 원리는 고무줄이 헐렁할 때보다 팽팽할 때 모양을 잘 잡아주는 것과 비슷하다. 강하게 당긴 철근을 콘크리트 중앙에 심어서 전체 모양이 쉽게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캐피탈게이트타워에서는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서정선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소장은 “이미 2000년에 인간게놈프로젝트 초안을 처음 발표할 때 국가인간게놈연구소장이던 프랜시스 콜린스 박사 등이 ‘인종은 없다’고 전제할 정도로, 이 분야 연구자들은 (과거의) 생물학적인 인종 개념과 선을 긋고 있다”며 집단유전학 연구에 “인종 ... ...
- 쓰레기매립지 악취, 자동차 연료로 둔갑!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정제가 어려웠다. 국내 연구진이 이를 정제해 자동차 연료로 쓸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했다.김정훈 한국화학연구원 박사팀은 기체분리막과 흡착기술을 이용한 막분리 혼성 공정을 개발했다. 매립지 가스의 불순물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전체 가스에서 메탄을 88% ... ...
- 칼 세이건 능가할 과학커뮤니케이터 뽑는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대회 ‘페임랩(FameLab)’이 4월 18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열렸다. 페임랩은 2004년 영국에서 처음 시작해 전 세계25개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이공계 대중 강연행사다. 18세 이상의 과학을 전공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전문가가 대중에게 자신의 연구분야(또는 타인의 연구분야)를 쉽고 ... ...
이전4004014024034044054064074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