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적은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했을 때 기능성이 있더라도,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인체
실험
을 하면 셀레늄처럼 결과가 뒤집히기도 한다.물론 홍삼이나 오메가3 같은 건강기능식품은 비교적 오랜 시간에 걸쳐 효과가 과학적으로 검증됐다. 하지만 글루코사민과 셀레늄의 사례는 건강기능식품의 ... ...
조개는 바위에 깨 먹어야 제맛!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노랑가오리가 몸으로 물결을 일으켜 파이프 안에 있는 먹이를 꺼내 먹는다는 사실은
실험
실에서 증명한 결과였다. 호주 맥커리대의 컬럼 브라운 박사는 스콧 가드너의 사진을 근거로 들어 저널 ‘산호초’에 ‘검은점박이 돔이 도구를 이용해 조개를 사냥한다’는 주제의 논문을 기고했다. 그는 ... ...
새만큼 똑똑한 도마뱀도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그동안 도마뱀의 인지력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를 뒤집는 결과”라고
실험
의 의의를 말했다. 이번엔 원래 위치가 아닌 다른 곳에 음식을 넣고 도마뱀의 선택을 지켜봤다. 처음에 모든 도마뱀은 전에 음식이 있었던 뚜껑을 열었다. 음식이 없는 걸 확인한 도마뱀 중 두 마리는 즉시 잘못된 ... ...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뚱뚱한 쥐(왼쪽)를 만들었다. 이 유전자변형쥐는 비만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모델로 여러
실험
실에서 쓰고 있다.] 마우스 병원이 생기면 이런 유전자변형쥐를 좀 더 쉽게 만들 수 있어요. 더 많은 과학자들과 시설이 한가지 목표를 위해 집중할 수 있으니까요. 더 좋은 건 앞에서 말한 것처럼 쥐의 ... ...
해양연 열대해양체험 이벤트 합격자 발표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대해 연구했다”고 말했습니다. 홍근혁 학생은
실험
군과 대조군을 설정하는 꼼꼼한
실험
설계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어냈습니다. 5명의 학생은 8월 말 남태평양으로 떠나 6박 7일의 체험프로그램에 참가합니다. 열대해양체험 이벤트에 참가한 모든 독자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아쉽게 탈락한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자라면 그보다 적은 인으로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레드필드 교수는 연구팀이 표준적인
실험
절차를 지키지 않아 박테리아에서 뽑아낼 때 DNA가 오염됐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그는 “심사위원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다”며 “왜냐하면 충격적인 논문을 싣겠다는 ‘사이언스’ 지 편집자의 욕망을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교수는 영국인이고 연구실에는 인도와 파키스탄 출신의 박사 과정 학생도 있다. 당연히
실험
실의 공용어는 영어다. 윌리엄스 교수는 “처음엔 학생들이 발표하면서 진땀도 흘리고, 질문하고 답하기도 어려워 우왕좌왕했지만 의외로 수 개월 안에 모두 능숙해졌다”고 했다. 또 “논문을 쓰고 ... ...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원하는 대로 정확하게 투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익스트림 에너지 연구실의
실험
실 모습.] 로켓 본딴 무통 주사기여 교수가 개발하기 전에 바늘 없는 주사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주사기 노즐에서 나오는 물줄기가 신경망 사이의 간격보다 커 통증을 없애진 못했다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처리되고 있다.척추동물의 진화와 눈이번에는 볼펜으로 간단한
실험
을 해보자. 연필을 눈 높이에 들고 왼쪽 눈을 감고 오른쪽 눈으로만 지우개 끝에 초점을 맞춘 다음, 눈의 방향을 고정시킨 채 연필을 서서히 오른쪽으로 움직여보자. 연필이 시선 방향으로부터 약 20° 정도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스크립스해양연구소의 물리학자인 그랜트 딘과 데일 스토크스는 캘리포니아 바다와
실험
실 물탱크에서 부서지는 파도를 분석해 바다 거품의 크기와 개수가‘멱함수 법칙(power law)’을 따른다는 사실을 확인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거품이 작을수록 개수가 많았고, 클수록 적었다는 뜻이다.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