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난
사건
생각
사색
재해
재앙
난리
뉴스
"
사고
"(으)로 총 4,453건 검색되었습니다.
빅 데이터 曰 “홈쇼핑 즐기는 당신, 응급실 갈 확률 높군요”
동아일보
l
2014.07.01
병원과 240만여 명의 의료보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이 센터는 액시엄 등 개인정보를
사고
파는 데이터 브로커 회사의 직원까지 고용해 고객의 질병과 생활습관 데이터를 샅샅이 파헤치고 있다. 우선 △가구 소득 △교육 △미혼·기혼 △인종 △자녀 수 △차량 대수를 파악한 뒤 데이터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제시 겔싱어라는 18살 소년이 유전자치료를 받은 뒤 급격한 면역반응으로 4일만에 죽는
사고
가 나면서 제동이 걸렸다. 이 사건으로 유전자치료 연구는 크게 위축됐지만 다시 전열을 재정비해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유전자치료 임상이 늘면서 현재 1700여명이 임상을 받았거나 임상을 진행하고 ... ...
공항엔 얼마나 일찍 도착하는 것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14.06.30
최적의 공항 도착시간에 관한 연구결과를 자신의 저서 에 실어 발표했다. 엘른버그 교수는 비행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공항에 일찍 도착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시간낭비를 줄이기 위해 시간에 딱 맞게 공항에 도착하는 사람도 있는 점에 주목했다. 여기에 ... ...
당신의 ‘파도 지수’는 몇 점?
과학동아
l
2014.06.27
최근 이안류는 한반도 바다의 ‘단골손님’이 됐다. 지난해에만 이안류로 인한
사고
가 10건 발생했고 구조된 사람만 546명에 이른다. 해운대의 경우 해저지형이 독특해 이안류가 자주 발생한다. 다른 해수욕장과 달리 해운대 중심부에는 골짜기가 뻗어 있는데, 해안가에 도착한 파도에 남아 ... ...
"이젠 공학자가 나설 때"
과학동아
l
2014.06.27
구축할 수 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세월호 참사를 비롯해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안전
사고
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안전한국을 위한 제언’이라는 제목의 정책연구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공학한림원은 세월호 참사가 터지기 전인 2013년 유비쿼터스형 국민 중심 안전망을 구축할 ... ...
“구글X 프로젝트, 100만분의 1 성공확률에 도전”
동아일보
l
2014.06.26
구글의 혁신을 이끈 프로젝트는 모두 이들의 손에서 시작됐다. 1년에 수십만 명이 교통
사고
로 죽거나 다친다. 환경오염이나 질병도 전 세계가 함께 해결해야 할 ‘난제’다. 스미스 부사장은 “구글X 프로젝트는 영화나 역사 속 영웅들처럼 인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며 ... ...
[과학단신] 원자력硏 헝가리 국제 공동워크숍 등
과학동아
l
2014.06.23
이반 토트(Ivan Toth) MTA-EK 연구위원 등 해외 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원전
사고
발생시 압력용기 내부의 압력파 전파 현상 연구, 원전 안전성 정밀평가 기술 개발 등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원자력 안전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 한국연구재단은 24일 오후 1시30분 충남 ... ...
재난로봇 경진대회 결선, 누가 나가나
과학동아
l
2014.06.20
2011년 3월 16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닷새 뒤인 이날 도쿄전력 기술자 50명이 고(高)방사능이 가득한 원전 현장에 투입됐다. 방사능 피폭 위험을 감수하고 이들이 현장에 들어선 이유는 딱 하나. 이들을 대신해 일할 로봇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미 국방부 산하 ... ...
방사성 세슘 다 잡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6
가능하다. 연구팀은 “6개월 정도면 실용화가 가능할 것 같다”며 “원전
사고
시 발생한 방사성 세슘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핵연료 재처리시 발생하는 방사성 세슘을 처리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앙게반테 케미 측은 이 연구 성과의 중요성을 인정해 VIP 논문으로 선정했다. ... ...
튜링 테스트 통과한 ‘유진 구스트만’과 대화해보니
과학동아
l
2014.06.13
뉴런)를 만든 뒤 뉴런 수를 인간의 두뇌 구조에 맞춰 늘려가다 보면 결국 진짜 뇌처럼
사고
할 수 있는 인공두뇌가 만들어진다. 스위스 로잔공대는 인공두뇌를 개발하기 위해 10년째 ‘블루브레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은 2013년 ‘인간두뇌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영화 그녀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