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력
원조
협조
보조
후원
지원
제휴
뉴스
"
도움
"(으)로 총 7,88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생태계 위해 '데이터 공유·활용, 클러스터 조성'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분야 인큐베이터인 제이랩스(JLABS)의 산제이 미스트리 소장은 “기업가들은 초기에
도움
이 많이 필요하다. 과학적 발견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제대로 된 협력 없이 시장에 내놓을 수는 없다”며 “제이랩스는 물리적 공간과 전문가의 조언을 조건 없이 제공해 과학적 혁신을 이루게 도와 기업화의 ... ...
금속3D프린팅 기반 구축…올해 기계硏 최우수 연구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이창우 책임연구원. 기계연 제공. 한국기계연구원은 첨단생산장비연구본부 3D프린팅장비연구실이 구축한 ‘금속 3D 프린팅 기반 구축’ 성과를 2019년 최우수 ... 좋은 상을 받게 돼 감사하고, 앞으로 3D프린팅 장비의 잠재력을 믿고 도전하는 산업계에
도움
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당뇨, 3차원 췌도조직 직접 키워 연구한다...새로운 조직배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고려대 연구팀이 개발한 췌도 세포 배양 기술을 한 눈에 그렸다. 췌장(이자) 속 췌도는 '랑게르한스섬'이라고 불리는 조직으로 췌도세포(노란색)과 내피세포(빨간색)으로 이뤄 ... “췌장과 췌도의 기초연구는 물론, 췌도 이식이나 당뇨 줄기세포 연구 등에도
도움
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작았던 천연기념물 애벌레, 과학관에서 성체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멸종위기종을 인공 증식시키는 기술을 확립해 생태체험관 조성과 종 복원에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지난 8월 강원도 춘천 일대에서 발견한 장수하늘소 애벌레가 번데기 과정을 거쳐 11월 말과 12월 초에 각각 암수 한 쌍의 장수하늘소 성충으로 ... ...
가두리 양식장 속 어류 360도 선명한 영상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4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선철 센터장은 “양식을 하는 어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
이 되도록 무선 수중카메라 시스템의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두리 그물 내부_ 쥐치의 먹이 활동 관찰 영상. 포스텍 제공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 댓글에 동조하는 악플의 심리학
2019.12.14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
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 ...
화성 바람지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넘는 경우가 흔하다. 베나 연구원은 “이번 결과는 우리가 화성의 기후를 이해하는 데
도움
될 것”이라며 “행성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더 많이 배우기 위해 상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조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 ...
얼굴 보정, 포토샵 말고 AI에 맡기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원하는 서비스나 새로운 혁신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국내 AI 산업 생태계에
도움
이 될 전망이다. 이번에 개발한 시각 AI 알고리즘은 사진 속 물체의 특징을 찾아내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AI 기술로 ‘백본 네트워크(VoV Net)’을 통해 공개된다. AI 알고리즘을 개발자들과 쉽게 공유할 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과 보통과학자의 위기
2019.12.12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
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작정이었습니다.” 집필 막바지에 갈릴레오는 거의 실명 상태여서 아들과 제자의
도움
을 받아야했다. 《두 과학》이 출판되고 4년이 지난 1642년 1월8일 갈릴레오는 아르체트리 자택에서 사망했다. 아직 교회의 서슬이 퍼렇던 때라 갈릴레오의 시신은 정식으로 묻히지도 못하고 피렌체에 있는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