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법식과 제도를 정리한 ‘경국대전’(經國大典)에는 ‘편경을 망가뜨리는 자는 곤장
100
대와 유배 3년에 처한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편경을 만드는 데 필요한 경석(磬石) 을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질그릇이나 벽돌을 만드는 데 쓰는 진흙을 구워 만든 와경(瓦經)으로 편경을 만들기도 했으나 그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함에도 재고가 다 떨어져 예약주문을 받고 있다. 탤크를 쓴 대기업의 한 제품이 400g에 5
100
원인 것에 비하면 같은 양일 때 가격이 20배가 넘는 셈이다.그렇다면 대기업들도 옥수수 전분을 쓴 제품을 만들어 가격을 낮추면 되지 않을까.김 교수는 “옥수수 전분으로 탤크를 완전히 대치할 경우 아무래도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그래핀은 상온에서 단위면적당 구리보다 약
100
배 많은 전류(최대 108A/cm2)를 실리콘보다
100
배 이상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그래핀은 열전도성이 가장 좋은 물질로 평가받는 다이아몬드보다 열전도성이 2배 이상 높다. 또한 그래핀은 강철보다 약 200배 이상 기계적 강도가 강하며 신축성도 ... ...
21세기 지구촌 리더 키우는 탑스라운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가진 바이엘 코리아가 만나 2007년 3월 시작됐다. 독일의 바이엘 본사가 계속 추진해온
100
년 전통의 사회공헌제도를 바이엘 코리아가 이어받은 것이다. 바이엘 코리아의 김기정 이사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 시대가 당면한 문제를 과학적 시각에서 자유롭게 논의해보자는 취지에서 이 활동을 ... ...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제트는 자기장이 있어야 설명할 수 있다”며 “일부 아기별에서 태양 플레어 폭발보다
100
배나 강한 폭발 현상이 관측됐는데, 이는 아기별의 자기장이 태양보다 훨씬 세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최 박사팀은 지구에서 남쪽왕관자리 방향으로 600광년 떨어진 분자운에 있는 아기별 IRS7과 IRS5에서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박 교수의 연구를 통해 전자 대신 빛을 쓰면 이론적으로 현재보다 컴퓨터 처리속도를
100
배 높일 수 있다.이런 기술이 실용화되면 현대 문명에 극적인 변화가 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현재 전자업계에서는 반도체의 집적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열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 ...
동식물의 신기한 재생능력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만들 수 있는 만능 줄기세포가 온 몸에 골고루 분포돼 있다. 몸을
100
조각으로 나누면
100
개의 조각 모두가 자르기 전 성체의 모습으로 재생된다. 머리 부위를 여러 조각으로 베면 머리가 여럿 달린 플라나리아가 된다.플라나리아는 몸이 납작한 편형동물의 일종이다. 입은 있으나 항문이 없어 입으로 ... ...
달콤쌉싸름한 초콜릿 대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알고 먹읍시다! 이신영(강원대학교 생물공학과 교수)초콜릿을먹으면살이찌나요?초콜릿
100
g의 열량은 500㎉로 밥 한 공기 반 정도에 해당돼요. 게다가 지방도 많고 당분 함량도 높아 대표적인 비만 식품으로 꼽히기도 하지요. 하지만 초콜릿의 지방에는 트랜스지방이 전혀 없고 폴리페놀이 지방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지금처럼 모기와 사람을 오가는 기생생물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랬다면 매년
100
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말라리아로 죽음을 맞는 비극도 없지 않을까. 2차 내공생, 3차 내공생? 진핵생물이 남조박테리아를 포획하며 시작된 1차 내공생의 결과 탄생한 광합성을 하는 진핵생물은 오늘날 녹조류와 ... ...
[생태학]냄새 기억해 귀가하는 사막 개미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찾는다. 하지만 사막에 사는 개미는 그러기가 어렵다. 사막은 기온이 높고 먹이가 귀해
100
m 이상을 돌아다니는 일이 잦아서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사막 개미는 시각 정보를 이용해 길을 찾는다고 알려져 있었다.연구에 참여한 마커스 네이든 박사는 “사막 개미가 서식처의 시각 정보와 함께 냄새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