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크진 않지만 체중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대
인간
생물학과 플란텐가 교수팀은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식사 30분 전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주스와 캅사이신을 넣은 주스를 마시게 한 다음 동일한 식단으로 식사 후 배고픔과 포만감을 느끼는 정도를 조사했다. ... ...
인간
X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끈 영국의 웰컴 트러스트 생어연구소의 마크 로스 박사는 “X염색체의 유전자는
인간
게놈의 4%에 불과하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3199가지 유전질환의 9.6%인 307가지를 규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 김대식 교수는 “이번 연구는 남녀의 생물학적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속담처럼 디자인 세계에서도 ‘보기 좋은 디자인은 곧 명기(名器)’로 통한다. 아무리 앞선 기술이나 아이디어도 소 ... 점철된 듯 보이는 디자인도 편리함을 강조하는 현대 과학기술과 미적 감수성, 그리고
인간
적 향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혼동해서는 안 된다”며 “미식법의 목적은 가능한 한 가장 좋은 음식을 수단으로 하여
인간
의 보존에 주의하는 것”이라고 쓰고 있다. 다양한 맛을 경험하고 미각을 세련되게 만드는 것이 결국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길인 셈이다.혀지도는 잘못된 과학상식‘단맛은 혀끝, 신맛은 혀양쪽, 쓴맛은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걸리는 시간은 불과 뜨거운 난로에 손을 댔을 때 조건반사가 일어나는 정도다.
인간
의 무릎 반사 운동보다는 무려 2000배나 빨리 일어난다. 이 때문에 아디다스 1에서는 끊임없이 쿠셔닝이 변하고 있지만 정작 운동화를 신은 사람은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항상 똑같다고 느낀다. 달리는 사람이 미처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선충이 휴면에 들어가 수명이 연장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백 교수는 “다우몬은
인간
의 노화 방지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이라며 “현재 다우몬에 반응할 수 있는 사람 세포 내 수용체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연구팀은 또 선충이 다우몬을 많이 분비하면 엄청난 양의 지방질을 순식간에 체내에 ... ...
KIST 휴머노이드에 '마루' '아라' 이름 붙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KIST)이 1월 공개한
인간
형 로봇 ‘NBH-1’의 이름이 ‘마루’와 ‘아라’로 정해졌다.정보통신부가 인터넷 공모를 통해 이 로봇의 남성형은 마루, 여성형은 아라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최근 밝혔다. 마루는 정상, 높은 곳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한국 로봇의 높은 기술 수준을 희망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 ...
사람 피부같은 촉각 센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개발했다고 1월 30일 밝혔다.이 촉각센서는 한국의 휴보(HUBO)나 일본의 아시모 같은
인간
형 로봇의 손가락에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기능을 하는 인공 피부를 입힐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 교수팀의 촉각센서는 지난해 말 일본 도쿄대에서 발표한 촉각센서보다 더 부드러운 재질을 ... ...
유엔 '
인간
복제 금지' 선언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
인간
복제가
인간
의 존엄성 및 생명 보호와 양립할 수 없으며 회원국은 모든 형태의
인간
복제를 금지하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한국 대표단은 “문화나 종교에 따라 생명의 개념이 다르기 때문에 복제연구 금지의 법제화 여부는 회원국의 결정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 ...
2. 디자인의 진화심리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는 “깔끔하고 잘 빠진 모습은 건강하고 활력있음을 상징한다”며 “좋은 디자인은
인간
의 ‘본능적 욕구’가 철저히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보기 좋은 디자인은 단순히 눈을 즐겁게 할 뿐 아니라 실제 물건을 다룰 때 효율도 높여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995년 일본의 연구자들은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