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그녀의 눈물은 아름다웠다. 피겨 여왕 김연아는 13개월 만에 출전한 '2011 세계피겨선수권대회’ 에서 은메달을 땄다. 1위를 차지한 안도 미키와의 점수차이는 고작 1.29점. 점프 하나만 제대로 ... 점수도 수정했어요. 쇼트 프로그램의 과제도 하나 줄였고요. 앞으로도 계속 보완될 거예요 ...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지역을 관찰할 수 있어요. 천리안 위성은 센서를 이용해 백두산의 온도 변화를 감시할 예정이에요. 마그마의 활동이 활발해져서 백두산이 뜨거워지면 바로 긴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지요.2 멀어도 OK! 음파관측소소리를 이용해 백두산 폭발을 알아차릴 수도 있어요. 화산성 지진은 보통 작은 규모의 ...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이들은 기준을 정해놓고 그 이상이 되면 올리고, 미만이 되면 버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반올림에서는 5를 기준으로 0부터 4까지는 버리고 5부터 9까지는 올린다. 따라서 반올림은 5를 기준으로 하는 퍼지이론적용된 것이다. 슈퍼스타K2의 라이벌 오디션이나 신입사원에서는 두 사람이 대결해 한 ...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살펴보면 확실히 B 비행기의 날개가 가로로 길고 세로로 좁잖아요. 새도 마찬가지예요. 날개의 가로길이가 길고, 세로길이가 짧을수록 가로·세로 비의 값과 활공비의 값이 커서 활공 비행에 유리한 거랍니다.새들의 비행에는 날개 비율이 아주 중요해요. 물론 커다랗고 긴 날개를 가질수록 무조건 ... ...
-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평형을 이루고 있으면 비행기는 일정한 속도를유지하면서 직선으로 비행하게 되는 거예요. 그렇다면 힘의 평형이 깨지면 어떻게 될까요? 이때 가장먼저 생각해야 하는 건 무게중심! 무게중심을 정확히 알아야 해요.블루에게 나뭇가지를 주며 무게중심을 찾아보라고 했더니, 똑똑하게도 손처럼 ... ...
- 진실 혹은 거짓? 그림 속 도형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1년 06호
- 화가 에셔의 예술작품은 물론이고, 펜로즈의 삼각형은 실제 조형물에서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퍼스란 지역에는 펜로즈의 삼각형을 볼 수 있는 조형물이 있다. 세 개의 막대가 분명히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각도에서 보면 삼각형처럼 보인다 ... ...
- 12진법에서 배수 판정법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차례로 더하고 빼고를 번갈아 반복하여 그 결과가 11의 배수인지를 살피면 된다. 예를 들어, 143과 814는 1-4+3=0, 8-1+4=11로 각각 11의 배수가 된다. 이 11의 배수 판정법을 참고하여 1001의 배수를 판정하는 방법을 찾고, 그 원리를 설명하여라.(3) 위에서 찾은 1001의 배수 판정법이 7의 배수 판정법이나 13의 .. ...
- 삼각형의 결정조건은 세 가지뿐인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하나로 결정(ASA)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더 많은 요소가 주어질 때를 생각해봅시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을 보세요. 작은 삼각형과 큰 삼각형에서 세 각의 크기가 같고 변의 길이는 각각 8, 18, 12와 12, 27, 18입니다.한 변의 길이만 다르므로 두 삼각형은 5개의 요소가 같습니다. 그러나 두 삼각형은 ...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산 하나만 작정하고 조사해도 수많은 미라가 나올 것”이라고 예상한다.미라가 발견되어도 연구에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다시 매장하거나 화장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지난 5월 4일 대전 쓰레기 매립장 조성공사 현장에서 미라 4구가 거의 원형에 가깝게 발견됐지만 ...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참조).하지만 초대칭 입자들은 현재 발견된 기본입자들보다 월등히 질량이 크리라 예측되고 있다. 이는 검출기를 이용해 만들기 힘들고, 검출하기도 어렵다는 뜻이다. 현재 출력이 가장 큰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도 초대칭 입자를 만들고 검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 ...
이전3994004014024034044054064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