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운영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한국, 기여도 크고 성과도 크다이터한국사업단에는 현재 약 7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고, 이터국제기구에는 30여 명의 한국 연구원이 프랑스 현지에 상주하며 세계의 공학자, 과학자들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본부장은 “EU의 3500명에 비하면 인원은 적지만,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중력이 있으니까 일정한 궤도를 유지하며 저도 공전하겠는데, 추리는 중력이 워낙 미약해서 필래를 착륙시키기까지 무지 복잡한 곡예비행을 해야 했어요.한국시각으로 12일 저녁 6시, 필래를 떨어뜨렸어요. 필래는 천천히 걸어가는 속도로 7시간 동안 날아갔지요. 아…, 그 7시간이 지난 10년보다 ... ...
- [과학뉴스] 키스 10초에 미생물 8000만 개!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비피도박테리움의 분포를 계산했다. 분석 결과 10초 동안 키스를 하면 평균적으로 약 8000만 개의 미생물이 상대방에게 옮겨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진은 커플을 대상으로 평소에 키스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 설문조사도 했는데, 하루에 9번 이상 키스하는 커플은 입 안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 ...
- [과학뉴스] 넌 다행히 피는 안 보고 혈장만 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내가 백혈병이라도 걸린 것이 아닐까’하고 벌벌 떨기도 했습니다. 혈장은 혈액 중 약 55%를 차지할 정도로 비율이 큽니다. 구성성분의 대부분은 물입니다. 90%정도 되고요, 간에서 만들어지는 혈장단백질이 7~8%, 그밖에 지방, 무기염류 등이 소량 포함돼있습니다.즉 피를 보지 않고 혈장만 봤다는 것은 ...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피로파괴의 사례다.이번 흔들림은 2시간 가량 이어졌다. 계산해보면 그동안 다리는 약 2000번 흔들렸다. 진동 허용범위의 10분의 1이라도 이렇게 많이 흔들렸으면 문제가 생기진 않았을까. 권순덕 교수는 “해상대교는 200만 번 정도 강하게 흔들려도 안전에 문제가 생기지 않게 만든다”며 “2000번 ... ...
- [과학뉴스] 민간우주선 ‘스페이스십2’ 시험 비행 중 폭발과학동아 l2014년 12호
- CNN에 따르면, 미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항공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스페이스십2는 고도 약 13.7km에서 모선과 분리한 직후 폭발했다.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상실험을 거쳐 최초로 시험비행에 사용된 새로운 연료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원래 고체 로켓추진체의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먹이사슬의 가장 위에 있어서 이들 물고기 안에는 중금속이 많이 농축된다. 미국 식품 의약국(FDA)과 소비자 단체가 임신부의 참치 섭취를 두고 갑론을박을 벌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필자는 최근 나노입자가 중금속처럼 먹이사슬을 따라 여러 차례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각 증거로 최초로 확인해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기계 선진국이 도전한다스텔러레이터는 최근 컴퓨터와 기계 기술의 발달 덕분에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1998년에 가동이 시작된 초전도 자석 스텔러레이터인 일본의 LHD(거대나선장치)는 특정 조건에서 고온 플라스마 지속시간이 1시간을 넘을 정도로 성능이 뛰어나다. 아직 어떤 토카막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부딪쳐 마찰력으로 회전을 서서히 멈추게 한다. 소행성이 완전히 정지하는 데까지 약 42분이 걸린다. 가만히 기다리기만 하면 소행성 포획 끝! 이제 붙잡은 소행성을 안전한 곳으로 옮겨 놓으면 된다. 지구와 달 사이에는 라그랑주점이라는 곳이 있다. 지구와 달의 중력이 평형을 이뤄 어느 쪽으로도 ... ...
- [과학뉴스] “나 박쥔데, 시끄러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압축기가 있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소리를 더 오래(0.9밀리초) 냈고, 발사하는 주파수 폭은 약 0.6kHz 정도 줄어들었다. 번클리 박사는 “박쥐가 내는 주파수가 변하면 먹이를 찾는 능력에도 변화가 있었다는 뜻”이라며 “사람이 만든 소음이 박쥐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이전3994004014024034044054064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