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우주 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우주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도 벌써 60년이 다 되어가요. 그동안 수많은 위성들이 우주로 발사돼 우주와 지구의 비밀을 밝혀냈지요. 하지만 모든 개발은 환경오염을 일으키기 마련이고, 이는 우주도 마찬가지였어요. 우주에 버려진 우주쓰레기들이 위험수준에 다다른 거예요.지구의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6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크레용팡’ 앱을 실행시켜 그림을 비추자, 내가 색칠한 우주인과 우주선이 움직이기 시작했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그림을 3차원의 가상 이미지로 바꿔 보여 주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거예요. 최근 인기를 끌었던 모바일 증강현실게임 ‘포켓몬고’와 같은 원리랍니다.“우와~! 우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있는 곳에서 메탄올에 470℃ 이상의 온도를 가하면 메탄올이 빛과 열을 내면서 타기 시작해요. 이런 현상을 ‘연소’라고 하지요.어떤 물질이 연소되면 새로운 물질이 생겨나게 돼요. 바로 이산화탄소와 물이랍니다. 연료 속에 있던 ‘탄소(C)’와 ‘산소(O2)’가 만나 ‘이산화탄소(CO2)’를 만들고,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그래서 비교적 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홍채가 생체 인식에 더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답니다.패턴을 숫자로 바꾼다!홍채 인식 기술의 기본적인 원리는 홍채의 모양을 컴퓨터 언어로 바꿔 주는 거예요. 일단 카메라가 눈에서 홍채의 위치를 파악해요. 이후 조임근의 모양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안경원숭이들만의 독특한 생리와 해부학적인 특징, 수유 행동에 대해 알고 싶어 연구를 시작했어요. 열심히 연구를 하던 중에 우리가 원숭이보다 인간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해 냈다고 해요.아직 박사님들이 우리 안경원숭이에 대해 연구할 거리가 많다고 해서 도와 주러 가야 해요! ... ...
- [현장취재] 찾아라! 하인슈타인 GO!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찾아갔어요.“이렇게 생긴 고철 덩어리가 자동차가 되다니!”도색도 안 된 차체부터 시작해서 핸들을 끼우는 단계까지 자동차가 완성되는 과정은 복잡하면서도 매우 신기했어요. 대부분 자동화 무인시스템으로 움직이고 있었거든요.IT기술과 무인로봇의 활약을 직접 눈으로 보고 난 이강원(여주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일어나면서 사람들은 더 이상 우리나라도 지진에서 안전하지 않다는 위기의식을 느끼기 시작했죠.지진은 땅이 흔들리는 자연재해예요.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엔 인간이 지진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종종 나타나곤 하지요. 주로 폭발물이나 큰 건물의 붕괴가 원인이 돼요. 실제로 2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편리함 때문에 스마트폰과 금융 결제, 출입문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가장 먼저 사용되기 시작했답니다. 특이점을 찾는다!지문에는 여러 개의 선이 일정한 모양을 이루고 있어요. 이 선은 손바닥에 존재하는 땀구멍이 솟아오른 것으로, 솟아 오른 선을 ‘융선’, 두 융선 사이 패인 곳을 ‘골’이라고 ... ...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있었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생체인식 기술에 인공 지능 기술인 ‘딥러닝’을 적용하기 시작했어요.딥러닝은 인간의 뇌의 신경망을 본떠 만든 알고리즘이에요. 기존의 컴퓨터는 문제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답만 계산해서 알려 주는 방식이었어요. 그래서 잘못된 정보를 입력하면 틀린 답이 ... ...
- [숲이야기] 알록달록, 겨울을 기다리는 단풍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초록색을 빛내던 잎이 붉은색, 노란색, 황갈색 등 다양한 색으로 물드는 ‘단풍’이 들기 시작하지요. 단풍이라고 하면 흔히 단풍 나무과의 식물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진달래과, 옻나무과, 포도과 등에 속하는 다른 식물 중에서도 아름다운 단풍을 자랑하는 종들이 있답니다.잎이 붉은색으로 변하는 ... ...
이전3994004014024034044054064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