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인간과 기계를 통합시킨 사이버네틱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못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심지어 사이버네틱스와 관련된 어떤 학술회의에서는 일부 화학
반응
도 되먹임 과정이 연관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사이버네틱스의 범주에 속한다고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에 따르면 어떤 형태로든 되먹임이 관련된 것이라면 모두 사이버네틱스의 일부라 할 수 있는 것이다 ... ...
최다 비행기록 세운 콜롬비아호 해부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컬럼비아호(STS-87)가 16일 동안의 우주여행을 마치고 돌아왔다. 컬럼비아호로서는 24번째 비행이며, 우주왕복선으로서는 88번째 비행이다.이번 승 ...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는 인간이 우주비행을 하면서 수면이나 신경계 등이 어떤
반응
을 보이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풀어줄 것으로 보인다 ... ...
녹였다 다시 쓰는 주머니 난로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아세트산나트륨의 용해는 흡열과정으로, 가열해야만 녹는다. 반대과정인 결정화는 발열
반응
이다. 즉 녹는데 흡수됐던 열이 결정화되면서 방출되는 것이다. 결국 손난로의 열은 결정화열이다. 실험에서 80g의 아세트산나트륨 3수화물을 사용하면 발생하는 열량은 약 11.6kJ(물1L를 약 2.8℃올리는데 ... ...
빛의 본성과 광전효과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전자는 마치 공을 탁 쳐주는 것처럼 광자와 충돌해서 광자의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반응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반응
시간 문제의 해결).아인슈타인은 일정한 에너지의 빛 입자를 광량자(光量子) 또는 광자(photon)이라 부렀는데, 특정한 파장의 빛에 해당하는 광량자들은 동일한 에너지를 가지고 ... ...
다이아몬드를 태우면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연소라고 하지 않는다. 즉 연소란 어떤 온도 이상이 됐을 때 비로소 산소와 결합하는
반응
을 말한다.다음으로 탄소원자의 구조에 관해 알아보자. 탄소원자는 6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원자가전자(가장 바깥쪽 껍질에 있는 전자. 가장 안쪽의 K껍질에는 전자를 2개, 그 다음 L껍질에는 8개까지 ... ...
외계생명체가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콘택트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영화로 완성된 것이다.영화에는 외계생명체와의 교신에서부터 전세계인들의 다양한
반응
과 정치인들의 이해분쟁이 사실적으로 묘사돼 있다. 영화는 초반부에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SETI 계획과 그것을 수행 중인 전세계 천문대의 모습을 생생히 보여준다.1959년 과학자 필립 모리슨과 주세페 ... ...
우유로 그림물감 만들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물질들이
반응
할 때 만들어지는 침전을 이용한 것이다. 황산구리와 암모니아수도
반응
해 하늘색의 수산화구리 침전을 만든다. 실험2. 물감 만들기왜 그럴까?우유에서 화학적으로 분리된 카세인은 색소의 고착제로서 그림물감의 주요성분이다. 우유단백질의 약80%를 차지하는 카세인은 인을 함유한 ... ...
게으름뱅이 천국 그리고 종말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뛰어나지 못하다는 게 문제였다. 감기에 걸리거나 목이 쉬기만 해도 제품들이 제대로
반응
하지 않았다. 모처럼 시골이나 해외에서 온 친척들은 먼저 음성을 기록시켜야 했다. 반면 목소리를 흉내내는 데 천부적인 재능을 지닌 구관조나 앵무새가 있는 가정에서는 새의 입에 테이프를 붙여놓아야 ... ...
성과학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음경은 줄어들고 질, 음핵, 유방 모두 원래 크기로 돌아간다.마스터즈와 존슨은 인간의 성
반응
에 관한 생체실험을 통해 몇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아냈다. 먼저 음경이 크다고 해서 발기 후에도 반드시 크란 법은 없다는 사실이다. 7cm인 음경은 발기할 때 1백20% 늘어났지만 11cm 짜리는 50% 밖에 커지지 ... ...
5. 스포츠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전신
반응
시간에서도 빛
반응
시간에서 수위를 보인 연식정구의 김성수 선수(0.121초), 소리
반응
시간에서 수위를 차지한 수구의 김재연 선수(0.111초) 등은 일반인(0.2-0.3초) 보다 엄청나게 빠른 민첩성을 과시했다. 순발력의 기준이 되는 제자리서서 점프(서전트점프)에서는 20대 남자 일반인의 평균이 47-5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