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앞의 조건과 같을 경우 펜촉을 2초간 대고 있을 경우 잉크반점의 반지름이 3.0mm로
나
왔다. 실제 측정값은 1.3mm로 꽤 차이가 난다. 연구자들은 종이가 잉크를 머금으면서 부풀어 올라 모세관힘이 약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5000년 전 고대이집트 사람들이 갈대 펜으로 파피루스에 글씨를 쓰던 이래 ... ...
우유니의 은빛 거울이 스마트폰이 되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리튬과 희토류, 그리고 우라늄 원료 모두 미래의 우리
나
라에는 둘도 없이 중요한 자원이다. 이들 자원으로 풍요로운 미래를 만드는 데 우리의 기술과 혜안이 중요한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 ...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운송수단만은 아니다. 스스로 안전을 지키거
나
움직이는 생활공간으로 바뀌고 있다. 당신이 꿈꾸는 첫 차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다양한 첨단 스마트카 중에서 골라보자.◀ QR코드를 통해 한 교수가 개발한 무인주행장치로 운행하는 운전 동영상을 확인할 수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3‘밀림’에 대한 기대가 깨지는 데는 별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이륙한 비행기가 모잠비크 해협을 건너 마다 ... 전 인도네시아에서 왔다. 그래서 말도 생김새도 아시아인을 닮았고, 말도 인도네시아어
나
말레이어와 비슷하다. 생활 모습도 친숙하다. ... ...
나
의 NASA 입성기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나
는 어릴 적 꿈을 따라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첫 직장생활을 하게 되었다. 다른 어린이들처럼
나
도 NASA가 실제로 뭘 하는 곳인지 모르는 ... 수 있도록 제도를 통해 돕고, 서로 신뢰하는 연구풍토에서
나
온 게 아닌가 생각한다.
나
는 그 탐사선 상황판 앞에서 한참 동안 동상이 되어 있었다 ... ...
몸집 줄여도 성능은 기대 이상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AF) 방식을 따를 수 없어 DSLR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동초점을 잡는 속도가 느리다. 그러
나
최근에 선보이는 미러리스 카메라들은 위상차AF 방식까지 구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AF 시스템’을 구현해 DSLR에 근접한 성능을 내고 있다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2차전지 시장 규모가 올해 200억 달러에서 2018년도 750억 달러로 급성장이 예상돼 반도체
나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큰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고 말했다.UNIST에서는 노벨상을 받은 해외 유명석학도 만날 수 있다. 특강을 하기도 하고 아예 이곳에서 함께 연구를 진행하기도 한다. 꿈의 신소재 그래핀을 ... ...
Welcome to 사이언스토이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콜라병 속 압력이 높아져요. 그래서 콜라가 병의 좁은 주둥이 밖으로 ‘뻥~’하고 뿜어져
나
오는 거랍니다. 하지만친구들, 신기하다고 해서 집에서 함부로 따라하면 다칠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아니, 왜 슈퍼로봇이 작동하지 않는 거지?모터와 센서가 콜라에 젖어 전기가 흐르지 않는 거지. 더 이상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물론 MBC 문화방송국에서 국회의사당까지의 최단거리는 두 점을 잇는 직선이 되겠지. 그러
나
실제로 이동하는 거리라면 상황이 조금 달라져. 도시에는 도로도 있고 건물도 있기 때문에 두 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이동할 수 없으니까. 이 문제는 ‘택시 거리’를 구하라는 거였어! 오예~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훨씬 웃돌 때 사용한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2/3를 태반이라고 불렀다. 사실 밭의 길이
나
넓이처럼 실생활 수학에는 딱 떨어지는 정수보다는 분수가 더 많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분수 계산법이 매우 중요했다. 그래서인지 자주 사용하는 특별한 분수에는 이름을 지었다. 1/4은 역반, 1/3은 소반, 1/2은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