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화원인 '활성산소'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원인인 ‘활성산소’의 기능을 알아내 난치병 치료용 신약 개발의 길을 열었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단백질체 시스템 연구센터장 류성언 박사는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가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과학전문지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12월호에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초고층 건물이 돈을 불러오기도 한다.건축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가장 오래된
공학
이며 예술이다. 현대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기술, 예술의 총화가 초고층 건물이다. 초고층 건물의 한계는 과학적으로 극복되고 있으며, 현재 200층 높이의 초고층 건물을 건설할 기술력이 있다.이러한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참여해야 합니다.”그래서일까. 유기구조재료를 전공한 정 교수이지만 전자
공학
과 생물
공학
관련 뉴스들은 빼놓지 않고 챙긴다. 이런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기 때문이다. 바이오칩 연구 활발 정 교수팀은 최근 나노구조체를 활용해 바이오칩을 만드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나노우물의 ... ...
가뭄·냉해 잘 견디는 감자와 고구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냉해에 잘 견디는 감자와 고구마가 국내에서 개발됐다.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곽상수 박사와 이행순 박사팀은 여러 환경 스트레스에 잘 견디는 유전자조작 감자와 고구마를 개발했다고 10월 13일 밝혔다. 작물 수확량은 가뭄과 냉해, 고온 등 외부 환경에서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최대 30%까지 줄어들 수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대중보건상은 바닥에 떨어진 음식물을 떨어진 뒤 5초 안에만 먹으면 괜찮다는 연구,
공학
상은 머리가 벗겨진 사람을 위해 개발된 빗에 돌아갔다.‘이그 노벨상’ (Ig Nobel Prize)이란‘품위 없는’ (Ignoble)이란 단어의 첫 두 글자인 ‘이그’ (Ig)를 노벨상과 합성한 말. 미 하버드대의 과학잡지(AIR)가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트랜스듀서로 이용한 나노바이오센서가 최근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정희태 교수팀이 그 주인공.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1㎚ 정도인 속이 빈 길쭉한 분자로 구조에 따라 전도체 또는 반도체이다. 연구자들은 탄소나노튜브에 DNA가닥을 붙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전도도가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난 9월 7일 미 생명
공학
기업인 시르나(Sirna)는 생명
공학
계를 한바탕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퇴행성 각막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한 신약의 임상시험 허 ... 그리 머지않은 장래에 RNA를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등 RNA 간섭을 통해 새로운 생명
공학
기술의 패러다임을 여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걸리는 시간의 5분의 1만에 비행 방향을 바꿀 수 있다고 한다. 미 캘리포니아공대 생명
공학
과 마이클 디킨슨 교수는 이런 놀라운 순간 동작에 매료돼 수년간 초파리의 비행 비밀을 연구해오고 있다. 그러던 어느날 그는 문득 새로운 의문을 갖게 됐다. 저해상도의 카메라폰보다도 훨씬 떨어지는 25×2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탐색하는 단계다. 다만 머지않아 주기적인 패턴을 갖는 구조물이나 나노기계, 나노전자
공학
의 소자나 바이오센서 소자 등에 DNA가 폭넓게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시먼 교수는 “DNA만으로 이뤄진 유용한 장치나 기계가 나오기는 어렵다고 본다”며 “DNA는 나노기계의 중요한 부품 역할을 할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이번 여름과학축제의 행사 책임자가 바로 슈투트가르트공대 기계
공학
부 학장인 과학자라면 대답이 될 것이다. 홍보 담당 매니저 슈패스 씨는 “내 생각에 과학자들이 3천명 정도는 참여한 것 같다”고 말하면서 “사실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일이 행사 준비를 통틀어 가장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