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스페셜
"
이후
"(으)로 총 4,63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것이 인간이 처음 소행성 표면에 만든 인공 크레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7
는 SCI가 충돌로 일으킬 먼지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사전에 멀리 떨어진 상태였다.
이후
하야부사 2는 충돌에 의한 먼지가 가라앉기를 기다렸다 25일 접근해 영상을 통해 크레이터의 형성 여부를 확인했다. 하야부사 2는 올해 말 다시 류구에 접근해 새로 형성된 크레이터에서 ‘출토’된 지하의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이주한 사실이 밝혀졌다. 핼리 만에서 약 55km 떨어진 또다른 군집의 개체수가 2016년
이후
갑자기 10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5년에는 약 1200쌍의 황제펭귄이 살았지만, 2018년에는 1만 4000마리로 이상으로 늘었다. 그나마 핼리 만의 펭귄은 이주할 곳이 있어 절반이나마 생존했다. 하지만 남극의 환경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녹지는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
2019.04.23
때 살던 집의 녹지지수(NDVI. 1분위는 녹지 비율이 가장 낮고 10분위는 가장 높다)와 청소년
이후
정신질환 발생의 상대적 위험성(relative risk)을 거주지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분석한 자료다. 시골(rural)에 살면 어릴 때 녹지지수에 따른 위험성 차이가 적지만 읍(provincial town), 지방 도시(provincial city), ... ...
젊은 뇌 유지하려면 집안일을 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이상 신체적 활동을 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뇌의 부피가 약 0.22% 더 컸다. 60살
이후
감소하는 뇌의 부피보다도 큰 양이다. 60살이 되면 뇌의 약 0.2%에 해당하는 양이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하루에 최소 1만보를 걸을 경우 5만보를 걸은 경우보다 뇌의 부피가 약 0.35% 더 컸다. 1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콘드라이트 운석에서 발견되는 수치다. 콘드라이트는 태양계 형성 초기에 만들어진
이후
열에 의한 변화를 거의 겪지 않은 운석을 뜻한다. 류구도 태양계 초기에 형성된 원시 행성임을 추정할 수 있는 결과다. 류구의 지형적 특성도 분석됐다. 류구의 밀도는 1㎝당 1.19g이고, 내부에 구멍이 50% ... ...
"중국 미세먼지 줄어도 한국 미세먼지 유입량 줄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관련 협정을 맺은 뒤에야 이산화황의 이동량을 줄일 수 있었다. 조 교수는 “협정
이후
1989년 런던의 이산화황 농도가 50㎍으로 늘었음에도 호버겐은 1.5㎍로 줄었다”며 “굴뚝 높이기 정책 대신 배출량을 줄이는 정책으로 변환하도록 한 국제협약이 효과를 냈다”고 말했다. 중국은 주요 ... ...
[과학게시판] 혁신성장동력 규제개선 공청회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회의실에서 ‘부산∙울산∙경남지역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후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및 25개 지식재산센터를 대상으로 지식재산 정책 관련 지역 현장 목소리 청취에 나선다. ■한국연구재단은 15일 대전 유성 대전청사에서 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와 학술정보의 공유를 위한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 몸은 우주에서 어떤 변화를 겪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머물렀다. 우주비행사가 1년간 ISS에 머무는 것은 1994년 러시아 우주비행사가 14개월 머문
이후
가장 긴 것이다. 가렛 배켈만 미국 버지니아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형제의 소변 및 대변 샘플, 각종 신체 측정 자료를 수집해 골밀도, 세포 노화, 심혈관 변화를 조사했다. ISS와 지구를 이어주는 소유즈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낙태 반대론'의 또 다른 얼굴
2019.04.13
대해 반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점이다. 또 정작 아이가 태어난
이후
의 복지에 대해서 별 관심이 없어 보인다. 예컨데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미숙한 행동을 했을 때 불쾌함을 넘어 아예 용납하지 못하는 무관용적인 어른들이 적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아이들을 잘 보이지 않도록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