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개"(으)로 총 7,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이 가려낸 '인 마이 라이프' 진짜 작곡자 누구일까수학동아 l2018.10.14
- ● 마크 클리크먼 미국 하버드대 통계학과 교수 인터뷰 마크 클리크먼 제공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주로 게임과 스포츠 경기를 분석하는 통계적 방법을 연구하는 통계학자예요. 온라인 게임에서 토너먼트를 할 때 비슷한 수준의 상대끼리 맞붙을 수 있도록 대진표를 짤 때 쓰이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속가능한 행복을 위해 '엉뚱함'이 필요하다 2018.10.13
- Bridging decision research with happiness research.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3, 224-243. ※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 등,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 ...
- [알쓸안잡]6화.규칙에 살고 규칙에 죽는다2018.10.12
- re.kr/home/sub.php?menukey=355 안전성평가연구소 블로그 ☞ https://blog.naver.com/kitox8310 ※ 필자 소개 홍용훈. 만화가, 동화작가. 만화로 , , 등을 연재했고, 동화로 , 등을 집필했다. 한국만화가협회 이사를 ... ...
- [과학게시판] 전국항공우주경진대회外동아사이언스 l2018.10.11
-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분야의 한-EU 연구진이 참석해 공동 연구성과와 신규 과제를 소개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슈’, ‘한-EU 공동연구 성과발표’, ‘5G·클라우드·인공지능 신규과제’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 ...
- 군대 개미의 탄생 “애벌레 부화 직전 결정”동아사이언스 l2018.10.11
- 생식 능력이 없는 개미의 계급이 결정된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11일(현지 시간) 소개했다. 생식능력을 갖춰 결혼비행을 할 수 있는 공주개미나 수개미가 아닌 이상 다른 계급의 개미에게 날개는 불필요한 기관이다. 그런데 생식능력이 없는 일개미나 군대개미가 될 애벌레들도 부화하기 ... ...
- [표지로 읽는 과학]인류,토성에 더 다가서다동아사이언스 l2018.10.07
- 토성 고리 사이에 방사선 벨트가 있다는 것 등이 이번에 밝혀졌다. 사이언스는 “이번에 소개된 연구 결과는 마지막 임무의 초기 분석 결과”라며 “향후 더 많은 연구 결과들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절대 잊히지 않는 기억2018.10.07
- 구한 정보로는 얼굴을 맞대고 진행하는 전문적 도움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 과정에 대한 논문을 쓰고 있다. , 를 옮겼고, , ... ...
- [2018IAC결산]日 존재감,中 세(勢)과시…불꽃튀는 동북아 우주경쟁(下)동아사이언스 l2018.10.07
- 대표들과의 만남’ 행사에 참석해 달탐사나 화성탐사 등 다양한 분야의 우주개발 성과를 소개하기도 했다. 청중들은 NASA와 국가항천국장에게 중국과의 우주 협력 여부를 집중 질문했다. 소형발사체 진출도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미국의 로켓랩과 함께 이번달 첫 상업 발사에 성공한 중국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통스러운 기억에서 벗어나는 법2018.10.06
- to enhanced memory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Advance online publication. ※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 등,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 ...
- [여기에 과학]지구온난화 맞서 1.5도 사수할 해양정책 동아사이언스 l2018.10.05
- 정책을 실시할 경우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추정해 국제학술지 ‘해양과학 프론티어’에 소개했습니다. 바다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25%를 흡수하고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을 다시 우주로 방출해 지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파리협약에 따라 여러 국가가 지구온난화를 ... ...
이전3983994004014024034044054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