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생 150주년] 화학의 뼈대, 주기율표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멘델레예프가 1869년 완성한 주기율표는 과학사 전체를 통틀어 가장 획기적인 연구 성과
중
하나로 꼽힌다.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는 근대적인 의미에서 완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주기율표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화학은 학문적인 체계를 갖췄고, 독자적인 연구 분야로 발돋움했다. 올해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8주기 원소의 전자 배치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했다. 퓌쾨의 경우 8주기 원소
중
165~168번을 8주기가 아니라 9주기일 것으로 예상했고, 프리케는 165~172번을 9주기로 제안했다.이 교수는 “8주기 원소 각각의 최외각전자가 어느 오비탈에 위치할지는 더욱 정밀하게 계산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 ...
[INTERVIEW] 지구를 가로질러 우주로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김동훈. 우주나 천문에 관련된 책들이 백과사전처럼 관련 지식들을 보여주는 데 치
중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우주를 보여주자고 생각했습니다. 탐험기를 실은 것도 그런 이유에서입니다. 그리고 책 군데군데 들어간 미술 작품도 우주를 친근하게 느끼는 데 도움이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중
하나라고 했다. 첫째인 여덟 살짜리 아들 버스터는 요즘 열심히 태권도를 배우는
중
이다. 개럿은 가끔 아들이 새로운 색깔의 띠를 얻기 위해 테스트를 받을 때 사진을 찍어 보내주기도 한다. 언젠가는 유단자인 나에게 도전할 날을 기대하라는 농담과 함께. 최근 개럿의 집에 초대돼 버스터를 ... ...
[
중
국유학일기] 中대학의 MT, 반 모임에서 '베프' 만들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소속감은 조금 떨어지는 편이다. 동아리 활동을 통해
중
국 학생들과 깊은 친분을 쌓고자 한다면 어느 정도 정기적으로 활동하는 동아리를 추천한다. 태권도 동아리의 경우 한국 유학생도 많고 모임도 정기적으로 진행해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된다 ... ...
[수학뉴스] 250년 된 웨어링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가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직접 만든 뒤 컴퓨터로 약 3주 동안 계산해 해를 찾았습니다.이제 100 이하의 자연수
중
아직 해를 못 찾은 자연수는 42뿐입니다. 여러분이 한번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 ...
수학동아와 함께해 더 특별한 파이데이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근삿값을 만들어내는 대회도 열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학교에서 모든 게임을 한 친구
중
에 추첨을 통해 선물을 주면서 자연스럽게 π-데이 활동에 참여를 유도했습니다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단계에 맞는 답을 적으셔야 한다는 것도 잊지 마세요! 참고자료 김용관 ‘수냐샘의
중
학수학, 이렇게 바뀐다’, 모리스 클라인 ‘수학의 확실성’, 이환철·강옥기 ‘수학적 사고의 발달 메커니즘에 기초한 교과서 분석 연구’, 정우성 ‘교과서의 ... ...
김민형|전 국민을 수학과 사랑에 빠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그런데 희한하게 수학에 겁을 많이 먹는 것 같아요.”그는 “세상을 이해하는 데 수학의
중
요성은 앞으로 더 커질 것”이라며 “수학을 전공한 연구자들이 학계가 아닌 다른 직업군으로 진출하는 것을 스스로 부정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영국에서는 박사과정을 우수하게 마친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필즈상 수상자들도 도전한 문제이 문제는 지난 50년 이상 수학자들이 고민해왔던 문제
중
하나였습니다. 1960년대에 헝가리 출신 수학자 야노시 콤로시가 이 문제의 확률인 pn은 n이 커지면 0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처음 증명했습니다. 하지만 얼마나 0에 빠르게 가까워지는지는 알지 못했습니다. 이후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