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각양각색 경기장 지붕에 숨은 의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경직성과 권위적 구도를 완화시켜 준다. 더욱이 이 사선 기둥들은 가운데는 두툼하고
끝
은 뾰족한 배흘림 식으로 처리돼 힘의 흐름이 명확히 인지되는 동시에 텐트 구조로 된 지붕과 어울려 더욱 경쾌하게 보인다.무등산 능선 닮은 쉘 지붕 - 광주 경기장광주 경기장은 쉘구조의 지붕을 갖고 있다.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얼마인지를 말할 수 있다.하지만 이같은 모양의 빛은 정보로서 무의미하다. 시작도
끝
도 없기 때문이다. 정보로서 빛이 의미를 가지려면 공간과 시간적으로 한정된 파형이어야 한다. 이런 파형을 펄스라고 한다. 펄스의 모양은 ‘ ’와 같다. 이같은 파형으로 어떻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지를 0과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설탕, 프림, 커피는 하나의 큰 통으로 흘러나온다. 그리고 이들은 통의 아래쪽 경사면
끝
에 이어진 관을 타고 종이컵 바로 위까지 쭉 내려온다. 만약 그냥 쭉 내려오면 제대로 섞이기 어렵다. 그래서 통과 관이 만나는 길목에서 커피의 내용물이 흘러가는 길을 우회도로처럼 설계했다. 때문에 이들은 ... ...
봄에 떠나는 생명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 도롱이벌레는도롱이주머니처럼생긴 주머니를 뒤집어쓰고 생활한다. 도롱이의 양
끝
은 열려 있어서 윗구멍으로는 머리와 가슴을 내놓고 기어다니면서 잎을 갉아먹고, 아래구멍으로는 배의 마지막 마디를 조금 내밀어서 똥을 눈다”고 한다. 이쯤하면 아무리 상상력이 부족한 사람이라도 그림을 ... ...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원형이거나 정사각형일 경우에는 각 변에 경사판을 설치해 자연스럽게 한가운데서 그
끝
을 모아 모지붕을 만든다. 하지만 바닥이 길쭉한 사각형일 경우에는 한점에서 만나지 않고 다양한 조합이 가능해진다.맞배지붕은 직사각형의 긴 변에만 앞뒤로 경사판을 설치해, 옆에서 보면 ‘ㅅ’자로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C-ABL의 기능을 억제하기 위한 가상약물 디자인이 시작된다. 수많은 시도와 연구
끝
에 C-ABL와 결합해 타이로신 복합체를 만드는 ATP 대신, 이 자리에 꼭 들어맞는 약물을 개발했다. 바로 글리벡이다.하지만 이 결과는 어디까지나 가상공간에서 얻은 것일 뿐이다. 컴퓨터 상에서 이뤄지는 일이 실제로 ... ...
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 북아메리카성운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동상을 차지한 윤재룡씨도 김창기씨와 같은 동호회 출신이라 화제가 됐다. 대상과
끝
까지 경합을 벌인 서울천문동호회 정한섭(34)씨의 작품 ‘목성의 자전’은 금상을 차지했다. 정한섭씨는 컴퓨터 화상채팅용 소형 웹카메라를 망원경에 연결해 목성을 찍는 신선한 시도를 선보였다. 대적반을 ... ...
디지털 시대의 인체 적신호 VDT 증후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키보드 아래 장치하거나 입체 마우스를 사용하면 좋다.키보드는 책상
끝
에 걸쳐있기보다
끝
에서 15㎝ 가량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것이 손목과 팔목관절의 경사를 자연스럽게 유지해줄 수 있을 것이다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관측하는 일일 것이다. 토성식이 일어날듯 말듯 진행되므로, 접식은 토성이 달의 맨
끝
에 순간적으로 붙었다가 다시 나타나는 형태로 보인다. 만일 달의 산이나 크레이터가 있는 부분에 토성이 접촉한다면, 달의 지형에 따라 토성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 모습이 반복되기도 한다.일반적으로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어떻게 하면 빛을 여러개의 광선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이씨와 교과서 제작팀들이 궁리
끝
에 떠올린 것이 머리 빗는 ‘빗’이었다.빛이 빗을 통과하면 빗살 사이로 갈라져 나오면서 여러 줄의 선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또하나 생각한 것은 손전등이었다. 학생들이 집에서도 얼마든지 실험할 수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