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생활의 혁명-제4세대의 식품이란? 최상의 것을 값싸게 구하는 시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셀러리 등의 야채가 미리 껍질이 벗겨지고, 말끔히 세척되고, 잘리거나 즙으로 갈려
공기
통제법에 의해 포장된 상태에서 4℃에서 보존된다. 그러므로 이제 그것을 꺼내어 양념만 하면 요리준비가 끝나는 것이다. 이러한 제품은 10~14일간 보존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끝나는 게 아니다. 야채의 ... ...
우주개발에서도「MADE IN JAPAN」시대가 올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제트추진에도 관심을쏟고있으며 항공우주기술 연구소가 보인 개념의하나로는 복부에
공기
흡입구가 있는 삼각날개 셔틀이 그려져 있었다. 일본의 추진계 기술자는 미국의 내셔널 에어로 스페이스 플레인 구상이 중요한 국제계획이 될지모른다고 생각, 그럴 경우는 계획에 참가하고 싶어하고 ... ...
제2의 전기혁명은 오는가? 초전도체 개발 경쟁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최고시속 5백17km를 주파한 바 있다. 이 열차는 고속주행 뿐 아니라 소음과 진동이 없고
공기
오염도 일으키지 않는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우주왕복선 무게의 절반이나 차지하고 있는 추진연료 없이도 우주왕복선을 발사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전기 저장 장치는 그야말로 전기를 통조림으로 만들어 ... ...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이 만든 현대의 암세포 도시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예를 들면 아마존이다. 세계 삼림면적의 4분의1을 차지하는 아마존은 전세계에 신선한
공기
를 공급하는데 큰구실을 해왔다. 말하자면 ‘지구의 폐’라고 말할 수 있다. 산소는 식물 광합성의 산물인데 지구상의 전 인구가 하루에 들이쉬는 산소의 약6시간분이 이 아마존에서 생산되고 있다는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박노양씨는 15년 동안의 노력 끝에 지용성을 높이는 방법 등으로
공기
속에서의 보존성을 높이고 암모니아 가스의 악취를 제거했을뿐 아니라 짚등 타사료와의 접합도 가능하게 했다. 이는 콩 보다도 단백가가 높고 가격은 10분의 1밖에 안된다. ‘반추동물용 요소 사료’는 ... ...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자연의 단순성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의문인 이 질문에 대해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불
공기
물 흙을 그 해답으로 제시했지만 분석적인 과학자들은 여기에 만족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물체를 칼로 잘라 쪼개나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런 소박한 기계적인 분할에는 한계가 있다. 칼날의 ... ...
과학자·기술자를 지망하는 청소년에게 주는 글 과학공부하는 마음가짐에 대해서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시간이 지난뒤 꺼내 보면 어떻게 되었을까? 팽팽하던 풍선이 분명히 작아졌음을 보고
공기
가 차가와지면 부피가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한참동안 방안에 내버려두면 풍선은 다시 부풀어 올라서 크게된다. 즉 기체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그 부피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풍선으로 ... ...
자동차 보유대수와 함께 늘어나는 배기가스 공해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감속주행 때 실화로 잔류가스가 많아져 HC가 급증한다. 엔진시동때 많이 배출되는 것은
공기
와의 혼합이 충분치 못하여 미연소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이다.③${NO}_{x}$의 생성연소실 안에서 생성된 ${NO}_{x}$의 대부분은 처음엔 NO이고 배출된 NO가 대기속에서 산화되어 ${NO}_{x}$가 된다. 즉 초기 연소 ... ...
지구과학 단원마다 주제에 대한 의문을 갖고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대기와 해양의 변화·지구상의 생명체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근원은 무엇인가?·
공기
는 왜 움직이며, 바람은 왜 불까?·어째서 비나 눈이 내리며 일기 예보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한없이 넓은 바닷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고 바닷물은 왜 움직일까?·바다 밑의 지형은 어떻게 생겼고 나도 한 번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제 지구의 운명은 사람손에지구는 살아있는 행성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체는
공기
와 바다 그리고 육지를 통한 영양소분배의 순환과정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지구의 모든 생물은 거대한 지질학적 순환으로 연결돼 있다.그러나 인간의 인위적인 행위는 이처럼 어느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