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유전자를 변형해야 해 윤리적으로 허용되지 않아 탄생할 수 없답니다. 슈퍼동물도 마찬가지로 윤리 문제가 있고, 슈퍼식물은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역시 제한하고 있어요. 이처럼 유전공학은 사람들의 동의를 얻어가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돼지 장기를 사람에게해마다 수천 명의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팔을 45° 각도 단위로 움직이면서 다양한 자세를 취한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총 8×8=64가지의 서로 다른 신호에 숫자와 문자 등의 의미를 담아서 사용하는 것이다.이같은 깃발 신호는 군대뿐 아니라 인명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도 응용된다. 특히 디자인 분야에서도 깃발 신호를 응용하는 경우가 종종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명확히 확립되지 않아 숫자 1을 소수로 생각하는 수학자가 많았다. 골드바흐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오일러는 1을 소수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골드바흐의 추측에서 정수를 홀수와 짝수로 나누면, 짝수의 경우에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그의 추측을 수정한 것이다. 현재 ... ...
- 비트 vs 바이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때문에 비트는 0이나 1값만 가진답니다. 1비트는 0과 1 두 가지, 2비트는 00, 01, 10, 11 네 가지 값을 가질 수 있어요. 1비트 늘어날 때마다 다룰 수 있는 정보의 크기가 2배씩 늘어나는 셈이지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 1초 동안 몇 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지 표시하는 ‘bps’라는 단위도 ...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어떤 젊은 수학자는 필즈상 후보로 거론되고 있기도 하다.한 수학자의 일생에서 두 가지 이상 서로 다른 분야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것도 드문 일인데, 그는 50대 후반의 나이에 또 다시 연구 분야를 바꾼다. 이번에는 응용의 속성이 강한 계산이론 및 복잡도 이론이었다.1980년대 후반에 이미 그의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대한 기원도 또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결국 현존하는 바이러스들의 기원은 한 가지 가설만 맞는 게 아니라 앞서 소개한 가설들이 모두 합해진 형태이거나 아직까지 생각하지 못한 가설까지 포함해 여러 계통의 기원이 각각 존재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독립기원설분화직전 공동조상(LUCA)로부터 ... ...
- Part 2. 사고 원인을 둘러싼 4가지 쟁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➊ 자동속도조절장치가 작동하지 않았다?착륙 당시 비행기는 권장 속도보다 시속 60km 정도 느렸다. 그런데 조종사들은 비행기의 “자동속도조절장치가 작동 중이었으며 정확한 권장 속도에 맞춰져 있었다”고 진술했다. 자동속도조절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면 원인은 기체 결함일 가능성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걸음을 옮겨갈 수 있다. 하지만 네발동물은 보행패턴이 사람과 달리 4가지다. 로봇도 마찬가지인데, 승마에서 흔히 쓰는 용어인 평보, 구보, 속보, 습보다.평보는 발 세 개를 땅에 붙여 두고 한 발씩 움직이는 것이다. 그런데 네발 동물이 발 하나를 들었을 때, 남아 있는 발 세 개의 위치를 선으로 ... ...
- 뒤통수 함부로 때리지 마라과학동아 l2013년 08호
- fMRI로 들여다봤다.창의성이 많이 발휘될 때와 아닐 때를 비교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두 가지 문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문제는 기하학적 모양 세 개를 움직여 조립해 정사각형이 되는지 직사각형이 되는지를 맞추는 단순한 문제였다. 두 번째 문제는 반원, 8자 원, 큰 원을 이용해 무엇이라 이름붙일 수 ...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함경도, 평안도를 향해야 했다.이 시기 남한 지역에서 호랑이가 절멸하게 된 원인은 세 가지를 꼽을 수 있다. 먼저 일제의 해수구제정책이다. 일제는 호랑이 사냥을 위해 조직됐던 포수가 항일의병이 되는 것을 두려워했다. 그래서 무기 소지를 불법화했는데, 이 때문에 호랑이, 늑대 등의 맹수로 ... ...
이전3983994004014024034044054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