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예이다. 나선 구조는 비대칭식물의 세계에서 비대칭을 이루고 있는 가장 좋은 예는 그
일부
가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다. 나선형은 두 가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오른 나사와 왼 나사이다. 왼 나사는 오른 나사의 거울상이다. 나선형은 식물의 세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줄기, ... ...
포항공대 에이즈백신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백신물질은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DNA 백신’. 에이즈바이러스(HIV)로부터 DNA의
일부
(항원)를 떼어내 몸에 주입해 면역세포(항체)의 생성을 유발하는 방식이다. 물론 주입되는 DNA는 독성이 없어야 한다. 성 교수팀은 먼저 생쥐에서 면역성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후, 2년 전 그 시약을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유일한 통로였다. 이런 상황에서 빙하기에 한반도에 살던 후기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일부
는 이 지역에 고립됐다. 추운 빙하기에 자연스럽게 얻은 적응력은 체질적으로 보존된 채. 그리고 신석기시대에 들어서면서 아마도 외부 유전자가 유입됨에 따라 머리뼈의 생김새를 비롯한 체질적 특성이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밝혀낼 뿐이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이후부터 우리는 북아시아와 한국의
일부
민속에 많은 친연성(親緣性)이 있음을 알기 시작했다. 1920·30년대에 이미 육당 최남선 선생은 한국의 무속을 시베리아의 샤머니즘과 견주어 이해하기 위해 폴란드 출신의 여류 인류학자인 챠플리카의 ‘시베리아의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아니다. 간세포는 간의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10여만개의 유전자 가운데
일부
만 기능을 발휘해 필요한 단백질을 생성시키는 것이다.이 가운데 1만개의 유전자가 간세포에서 단백질을 만든다고 가정하자. 우선 전체 DNA에서 1만개의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부위를 찾아야 한다. 이 일은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대규모로 얻어낼 수 있는 로보트화된 도구들의 사용이 앞으로 점점 생물학 연구의
일부
가 될 것이다.이러한 급변하는 추세는 한가지 자명한 결과를 낳는다. 즉 새로운 형태의 생물학자를 양성하는 일이다. 수학이나 전산학과 가장 멀리 떨어질 수 있는 분야였기에, 생물학 분야는 일종의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그 중심에 있는 인간을 공략할 태세다. 물론 지금까지의 실험결과로 볼 때 인간 신체의
일부
를 떼어내 복제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이런 와중에 1999년 2월 12일 우리나라에서도 세계 5번째로 체세포로부터 동물을 복제하는데 성공했다.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교수팀이 젖소의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사람에게만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테라스라는 학자는 촘스키의 주장이
일부
틀렸다며 ‘님 침스키’란 침팬지가 사인(신호)으로 의사를 표현했다고 주장했다. 침스키는 사인으로 의사를 전달하고, 함께 일하면 할수록 더욱 더 많은 신호를 익힌다고 테라스는 보고했다. 그런데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않아 국내 기업들이 선뜻 도와주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부
뜻있는 기업들이 나서
일부
부품을 국산화하는데 겨우 성공했다. 두번째 우리별은 1993년 9월 26일 우리별 1호가 탔던 아리안로켓을 타고 다시 지구궤도로 올라갔다.우리별 2호가 올라간 다음 인공위성연구센터에는 길고 긴 가뭄이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개발은 남성 전립선 비대증을 연구하던 과정에서, 이 약물을 복용한 대머리 환자의
일부
에서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 계기였다. 또 미녹시딜의 경우 고혈압치료제를 연구하다가 이 약물이 머리를 자라게 하는 ‘부작용’이 알려져 대머리 치료제로 개발됐다.그러나 아직 미흡한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