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원로의사 vs 닥터왓슨 환자들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가천대 길병원은 IBM사의 인공지능(AI) ‘왓슨 포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 이하 왓슨)’를 이용해 처음으로 암환자를 진료했다고 밝혔다. 그로부터 약 두 달이 지난 지금, 왓슨의 진료를 받은 암환자는 길병원에서만 85명으로 늘었다. 서울의 한 유명 병원에서는 암 환자가 의사의 판단과 왓슨의 치료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파동을 똑같이 만들어 내는 기술이기 때문에 피로감이 생기지 않는다.홀로그래피 원리를 이용해 렌즈와 같은 광소자에 기록했다가 SLM프로젝터로 재생하면 3D 디스플레이 영상을 만들 수도 있다. 이는 아날로그 홀로그래피의 장점과 디지털 동영상 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병호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손상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플라즈마를 조사해 미세유체칩을 만들었다. 또 생체분자를 이용해 물질을 측정할 때 전하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질량 변화도 동시에 측정해 정확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콘 표면의 나노구조를 개선해 측정 민감도를 높였다. 이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DOI:10.1038/ncomms5037).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변형 효모를 이용해 바닐린을 생산할 수 있었다. 식물유전학자들은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바닐린을 더 많이 만드는 새로운 바닐라 난초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많은 과학자들이 미생물이 신진대사하는 과정에서 ... ...
- [수학뉴스] 사랑이 피어나는 미분과 적분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구하는 법이에요. 자동차가 어느 순간에 어떤 속도로 움직이는지 알고 싶다면 미분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지요. 적분은 곡선으로 이뤄진 도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도형을 다각형 모양으로 아주 잘게 쪼갠 뒤 각 넓이를 구해 더한 거예요. 이렇게 보니 미분과 적분은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죠. ...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Sergiu Klainerman)처럼 되고 싶어요. 제가 무척 존경하거든요. 교수님은 1980년대에 벡터장을 이용해 비선형 쌍곡 방정식을 이해하는 연구를 하셨는데, 교수님의 연구가 아름다운 이유는 그 전까지는 너무 어려웠던 문제가 그 연구 성과로 인해 쉬운 문제로 바뀌었기 때문이에요.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 ...
- [소프트웨어] 평범한 듯 특별한 SW 수업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마치 컴퓨터 언어처럼 앞과 뒤, 두 가지 방법으로만 구별된다.윤 교사는 이 게임카드를 이용해 이진법을 가르쳤다. 세 장의 카드 위에 교사가 1 또는 0이 적힌 숫자를 올려놓으면, 학생은 숫자 1 아래에 있는 카드는 점이 찍힌 면이 보이도록, 숫자 0 아래에 있는 카드는 빈 면이 보이도록 뒤집는다.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12만 원)에 유전체를 해독할 수 있는 시대”라고 말했다.헬릭스가 계획한 DNA 앱 스토어를 이용하면 20달러(약 2만3000원)에 자신이 특정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리 달릴 수 있는 능력에 관여하는 ‘속도 유전자(ACTN3)’에 대해 알고 싶다면 침샘플을 헬릭스에 보낸다.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작품이라고 소개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황금비 열풍의 범인은 파촐리황금비를 이용했다고 잘못 알려진 건 다 빈치 작품뿐만이 아닙니다. 수많은 예술품이 황금비 작품이라고 알려져 있지요. 대표적인 예가 밀로의 비너스, 조르주 쇠라의 점묘화, 피트 몬드리안의 기하학적인 작품입니다. ... ...
- [헷갈린 과학] 닮았지만 천적 관계인 늑대 VS 코요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가지 전술을 사용해요. 늑대는 개보다도 지능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하울링(울부짖음)을 이용한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개과(科) 동물인 늑대는 유전적으로 개와 아주 비슷해요. 예전에는 늑대가 개의 조상이라고만 알려져 있었지만, 지난 2014년 미국 시카고대학교 연구팀이 ... ...
이전3973983994004014024034044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