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영상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처리하는 것들이다. 연구 분야는 크게
볼
륨 가시화, CT 재구성 가속 및 오류 제거,
볼
륨 보존 비강체 정합, 하치조신경 자동 검출 등이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의료영상공학을 전공하면 삼성전자와 같은 대기업이나 의료기기 전문 업체 바텍(vatech)사 등 중소기업에 취업할 수 있다. 굳이 취업을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핵이 지금의 은하수 대신 밤하늘을 가득 채울 것이다. 그러나 정작 지구에서는 그 모습을
볼
수 없을 것이다. 앞으로 약 70억 년 후에 일어나게 될 일인데, 태양의 수명은 앞으로 50억 년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4 태양이 블랙홀이 된다면? ››› 지구는 무사할까◀ 태양이 은하의 중심부에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카메라가 달려 있고, 정해진 항로로 날아갈 수 있다면? 군이나 경찰이라면 귀를 쫑긋 세워
볼
만하다. 인질극을 벌이는 무장강도를 제압하거나 대치하고 있는 적군의 동태를 살피는데 안성맞춤이다. 이처럼 영화에서나 나오는 초소형 무인정찰기(UAV)를 실제로 만들 수 없을까.건국대 박훈철 교수팀은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잘 짜는 녀석들로 생각해 봤어. 바로 기린과 코끼리 부대야. 기린은 7km까지도 내다
볼
수 있을 만큼 시력이 좋아. 하지만 무엇보다 초저주파수로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그래서 기린들끼리는 공개적으로 전투전략을 짜도 어벤져스 팀은 그 내용을 알 수가 없지. 코끼리도 마찬가지야. 14~24Hz의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주장이다.그 상징적인 조치로 당류 가운데 하나인 과당을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는 물질(GRAS)’ 목록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것. 이 목록에 들어있는 원료는 양에 구애 받지 않고 쓸 수 있다. 그런데 왜 우리가 익숙한 설탕이 아닌 과당이 규제대상으로 거론될까.과당 대사는 에탄올 대사와 ... ...
성적도 오르는 즐거운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위한 활동으로 영역을 넓힐 계획이다. 현재 2학년인 3기 학생들은 친구들이 수업시간에
볼
수 있도록 새로운 화학Ⅰ교과서의 실험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있다. 각종 과학축전에도 참여해 과학이 생소한 지역 주민들에게도 과학 체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일종의 학습봉사인 셈이다. 왜(Why) Y-cuss의 ... ...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관측하는 식이다. 하지만 태양을 찾을 때는 뷰파인더로 대상을 잡을 때 눈으로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손바닥을 이용한다. 뷰파인더로 대상을 찾으면 태양필터를 장착한 주망원경으로 관측을 시작한다. 모든 이론수업과 예비관측을 마치고 본격적인 태양관측에 들어갔다. 먼저 굴절 망원경을 ... ...
특명! 오感감을 속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발표했어요. 혀를 속여라!맛도 잡고 건강도 잡는 맛물질잠시 쉬어가는 시간을 가져
볼
까요? 참가자와 심사위원 여러분에게 쫄깃쫄깃 짭조름한 라면을 한 그릇씩 드리겠습니다. 달콤 쌉싸름한 초코머핀도 디저트로 준 비돼 있네요! 네 번째 참가자인 왕소금 박사님이 준비하셨답니다. 그런데 너무 ... ...
사각지대 없는 사이드미러 발명!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이렇게 거울로 확인할 수 없는 일정 부분을 사각지대라고 한다. 기존 사이드미러를 통해
볼
수 있는 시야의 반사각은 15° 정도였다.그런데 힉스 교수가 이번에 개발한 사이드미러는 표면에 정교한 굴곡이 있다. 외부 빛이 거울에 반사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수학 알고리즘’을 개발해 거울의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이라는 기계가 개발된 이후 뇌가 활동하는 모습을 그림으로
볼
수 있게 됐다. PET는 대사활동이 활발한 곳에 모이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몸에 주입한 다.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감마선을 측정하면 뇌의 어느 부분이 활동하는지를 그려낼 수 있다.1990년 미국 AT&T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